▲ 조건준 아유 대표

그게 뭔데

소셜유니온에 대해 악담이든 덕담이든 듣고 싶어. 소셜유니온이 뭔데. 신생노조 인터뷰를 하고 있는데 ‘이익이 중요하냐 권리가 중요하냐’는 질문에 ‘권리가 중요하다’고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 이렇게 이익보다 권리를 아무나 자연스럽게 누리는 사회성 높은 노조지. 이익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나. 그렇지, 이익이 싫다는 것이 아니라 노조할 권리가 있어야 이익도 챙긴다는 거지.

노조는 정치권력을 위한 정당이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기업과 다르잖아. 그거야 그렇지. 정치-권력, 경제-이익, 사회-권리를 연결해 봐. 노조는 사회적 권리를 탄탄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정치권력에 목매거나 경제적 이익에 사로잡히면 영역이탈이지. 그럼 이기적 집단으로 찍힌 노조는 영역을 벗어난 거네. 그렇지. 정치로 쏠리고 이권에 빠지면 사회성이 떨어져 비호감이지.

근데 노조에 아무나 가입하면 되나, 회사가 같아야 노조를 하는 거 아녀? 프리랜서를 만났더니 청년유니온을 보고 “나도 노조에 가입할 수 있구나 생각해 가입했다”고 하더라. 무슨 일을 하는지 안 따지니까. 거긴 청년만 가입하잖아. 제한 없는 조직은 없지. 재벌을 받아주는 노조는 없어. 노동자고 특수고용직이든 자영업자든 뭐 비슷한 처지에 있어야 해. 근데 방송작가나 대리기사나 디지털콘텐츠노조나 프리랜서들은 지역이나 회사 안 따져.

가리지 않고 받으면 중구난방 아닐까. 자연스럽게 가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거지. 노조를 슬그머니 만들 수 있어? 싸우고 그래야 하지 않아? 꼭 그렇지는 않아. IT쪽을 인터뷰했더니 ‘덜렁’ 노조를 만들었다더라. 뭔 소리지. 각오하고 결단하고 그런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특별한 이슈 없이 만들었다는 거지. 그게 가능한 곳도 있고 안되는 곳도 있지 다 그러나? 그렇지. 근데 하기 나름 아닐까. 기업에 상관없이 가입하는 일반노조도 생겼지만 지금은 또 달라. 산업이 바뀌고 새로운 노동이 출현했거든.

굳이 새로운 개념이 필요할까

제조업은 노조 만들면 부딪쳐. 노사가 한곳에 모여 있어서 긴장이 쎄. 프리랜서나 플랫폼 노동자는 노조 만든다고 긴장 팍 붙지는 않더라고. 긴장이 없는 것은 아니지. 자연스럽다는 얘기에 다른 의미도 있어. 뭔데? 자연을 생각하는 거지. 기후위기 시대에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생각하는 노조. 당장 노조도 없이 생계 챙기는 사람들에게 자연까지는 무리 아닌가. 하지만 미래의 노동은 자연과 공존, 탄소배출 줄이는 것을 생각할 줄 알아야지. 그래 알겠는데, 밥그릇 챙기는 노조가 기후위기 생각하겠냐? 그치, 하지만 요즘 많은 사람들이 기후위기 걱정해. 그런 걸 생각하는 사회성 높은 노조가 소셜유니온이지.

그래도 굳이 새 개념이 필요해? 3세대 노조가 필요하고, 3지대 노조가 필요하니까. 3세대가 뭐냐. 1세대가 어용노조고 2세대가 민주노조고 3세대가 소셜유니온이지. 제3노총 이런 거? 그건 이상한 거고. 어용노조 시절이 있었고, 민주노총이 등장했잖아. 근데 민주노총 싫어하는 사람 많아. 3세대 노조가 필요한 거지. 그럼 3지대는 뭐냐. 정치에서 얘기하는 3지대 정당 그런 느낌인데. 그건 아니고. 정규직이 있고 비정규직이 있잖아. 1지대는 정규직, 2지대는 비정규직, 요즘은 특수고용직, 플랫폼 노동, 독립계약자, 3,3노동, 늘어난 프리랜서 등 복잡하잖아. 이런 3지대 시민을 위한 노조가 필요해.

노조는 딱 뭉쳐서 팍팍 밀어붙여야 하는데 아무나 모이면 힘이 될까? 근데 현실에서 가능성이 있거든. 어디에 있는데. 플랫폼 회사 ○○○ 같은 데 있지. 조합원이 4천명으로 늘었더라고. 거긴 대기업이잖아. 아무나 가입하는 것이 아니고. 그렇지. 근데 ○○○노조에는 대리기사도 가입해. IT 회사에 왜 대리기사들이 가입해? 아, ○○○대리. 그렇지. 그건 대기업이니까 가능하지. 그래도 IT개발자와 대리기사가 함께하는 거 멋지지 않아? 제조업에서도 같은 공장에 있는 경비·식당·청소 노동자를 챙기는 사례도 있어. 30분 배달제나 일러스트레이터에 대한 페미니즘 검증 이슈나 방송작가 이슈들은 유니온들이 만들어 왔어.

이념 환자 많지

소셜유니온이 사회주의노조냐고 묻더라. 왜? 사회(social)에서 사회주의(socialism)를 생각했나 봐. 난 전혀 그런 생각 안드는데. 흔히 정치·경제·사회라고 할 때 사회를 사회주의로 연결하는 사람은 없지 않냐. 그렇지. 그런 식이면 ‘사회안전망’이 ‘사회주의 안전망’이겠다. 그렇다면 공동체를 의미하는 커뮤니티(community)도 공산주의(communism)라고 해야 할 것이다. 있는 그대로 못 보고 맘대로 색칠하면 ‘이념 환자’지. 요즘, 윤석열이 좀 그러지 않냐. ㅋ좀 그렇지. 좌파 운동권이었다가 우익 보수가 된 사람을 보면 이쪽 이념에서 저쪽 이념으로 옮겨 다니는 ‘이념 환자’같아. 고통받는 현실의 인간이 중심에 없어. 이념은 됐고 개념을 한국말로 만들면 안 되냐. 그러게, 근데 ‘사회노조’라고 하면 더 오해할 거 같지 않냐?

인터뷰를 해 보니 제조업이나 대기업으로 가면 집단성이 높아. 플랫폼이나 프리랜서나 작가나 이쪽으로 가면 집단성은 낮아도 사회성은 높은 편이야. 이런 사람들에게 맞는 노조가 뭔가를 생각한 거지. 그런 사람들이 사회성이 높긴 한 거야? 사회성이 뭐냐고 따지면 복잡한데 대기업 노조는 힘이 있는데 지들 이익만 챙기는 이기적 집단으로 찍혀. 반사회적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어. 플랫폼 프리랜서로 가면 달라. 그렇지, 떨어져 혼자 일하지. 노동과정에 집단성은 꽝이지만 사회성은 달라. 일을 따려면 사람들 사귀고, 작가는 시청자 공감을 얻어야 하고, 배우는 관객 호응을 끌어내고, 대리기사는 취한 사람 얘기를 들어 줘야 해. 그러겠네.

사회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사회노조, 소셜 네트워크로 시작한 사람들에게는 소셜유니온. 전통적 공장과 다른 플랫폼에 접속해 일하는 사회공장에는 사회노조, 이런 얘기 하니까 후배가 그냥 라임을 맞춘 것 아니냐고 하더라.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 라임을 맞춘 거 맞아. 근데 말장난은 아니야. 나도 잘 몰랐던 산업의 노동자들 얘기 들으며 고민 많이 했어.

잡담회 해 볼까

‘소셜유니온’이라는 단어가 생기면 노조가 바뀌냐? 사람들이 개념어를 가지고 사는 것은 아니지. 개념보다 실제 행동을 통해서 보고 느껴. 그렇다고 개념 없이 사는 것은 아니잖아. 야 핸드폰 좀 줘 그러면 주잖아. 핸드폰 개념을 아니까. 그런 개념이 없으면 요만하게 생겼고 어쩌고 복잡하게 설명해야지. 개념 없이 살면 어렵긴 하지. 인간은 상상의 공동체를 만들어. 원래 민족은 없는 건데 만들어 낸 거야. 전에는 단일민족이니 백의민족이니 그랬잖아. 많은 사람이 뭉치려면 상상의 공동체가 필요해.

개념보다 왜 그런지 피부로 느껴야지 않을까. 만나 본 사람들은 이미 현실에서 느끼고 있는 것 같아. 한편에 권리 사각지대가 있는데 다른 쪽에 노조 혐오가 있잖아. 사각지대에 있는 일하는 시민은 어디로 갈 수가 없어. 인간으로 누려야 할 권리를 원하지만 기성노조에는 들어갈 수 없는 사람들. 그런 시민을 위한 공간이 필요해. 그게 바로 ‘소셜유니온’이지.

근데 이런 얘기 노동계에 좀 알려진 얘기냐. 아니, 다들 뭔 소린가 할 거야. ㅋㅋㅋ 그러냐. (2010년대 이후 탄생한 유니온을 ‘일반노조’ ‘유사노조’ ‘커뮤니티유니온’으로 보는 논의가 있긴 했다) 그래서 너랑 얘기하듯 ‘소셜유니온’에 대한 잡담회를 해 볼까. 헛소리든 쓴소리든. 그래야 좀 발상이 트이지. 참 애쓴다. 잘해서 유행이라도 시키면 성공이겠다. 유행은 바라지 않아. 일단 떠들고 아무 말이든 듣고 싶어.

아유 대표 (jogjun@hanmail.net)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