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클라우드·빅데이터·나노 분야에서 향후 5년 동안 6만명 가까운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는 정부 관측이 나왔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3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기술교육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을 열고 4개 주요 신기술 분야의 향후 5년간 신규 인력수급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4개 주요 신기술 분야에서 5만9천600명의 인력이 모자랄 것으로 봤다. 전망은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수요를 도출하고,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향후 계획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해 인력 수요과 공급 차이를 추정한 것이다.

그 결과 빅데이터 분야는 1만9천6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했다. 디지털 혁신의 기초로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전 산업적으로 확산돼 고급 데이터 인력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클라우드·인공지능 분야도 각각 1만8천800명, 1만2천800명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인터넷 서버와 소프트웨어를 매개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성장하면서 운영·개발 전반의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AI 연구개발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 분야는 8천400명의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

김성호 고용정책실장은 “정부는 신기술 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TF’에서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황성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미래인재연구본부장은 “이번 포럼에서 나온 기업 현장의 생생한 의견이 정부 인력양성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