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노조

은행 현금수송 업계 1위인 한국금융안전의 대표이사 공석사태가 1년째 이어지고 있다. 금융노조(위원장 박홍배)는 만성 적자경영의 책임이 김석 대표이사 권한대행에게 있다며, 주요 주주인 시중은행들이 후임을 바로 선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권한대행은 2019년 7월 취임해 지난해 3년 임기를 마쳤지만 후임 인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계속 업무를 수행 중이다.

노조는 24일 오전 국회 앞에서 ‘대표이사 공석사태 1년 한국금융안전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 전 대표 체제의 한국금융안전은 4년째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김 전 대표가 취임한 2019년 7월부터 권한대행으로 있는 현재까지 매출의 약 27%가 급감하고 시장점유율이 떨어졌다는 게 노조 한국금융안전지부(위원장 이동훈) 설명이다.

이동훈 위원장은 “계속된 적자로 올해 초 임금체불이 예상됐으나 지난해 말 회사 건물 담보대출로 잠깐 숨을 돌렸다”며 “올해 10억~15억원의 자금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내년부터 임금체불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사측은 지난 5월 소액 흑자를 냈다고 자화자찬했지만 퇴사 인원이 증가하면서 인건비가 세이브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김 전 대표에게 경영실패를 책임지고 사퇴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김 전 대표는 지난해 7월 임기 종료 이후에도 여전히 권한대행으로 사실상 대표이사를 연임하고 있다. 주요 주주인 시중은행들의 무관심 속에 발생한 일이다.

한국금융안전은 1990년 시중은행 6곳이 출자해 설립됐다. 2014년 김 전 대표가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지분을 인수하면서 최대주주(37.05%)가 됐다. 우리은행(15%), 국민은행(14.96%), 신한은행(14.91%), 기업은행(14.67%), 한국씨티은행(1.7%)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동훈 위원장은 “시중은행들은 회사 정관과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융산업구조개선법) 등을 이유로 주주권 행사가 어렵다고 하지만 모두 핑계일 뿐”이라며 “최저입찰제를 고집해 3인1조 현금수송 업무를 어렵게 하더니 이젠 엮이기 싫다며 주주권마저 행사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박홍배 위원장은 “한국금융안전에 업무를 위탁한 시중은행들은 금융안전이 무너지는 상황을 방관해선 안 된다”며 “조속한 주주권 행사를 통해 경영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업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동훈 위원장은 “경영만 정상화된다면 노동자들은 고통을 감내할 용의가 있다”며 “이번에도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마지막 선택은 파업뿐”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