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기관의 화석연료 투자 규모는 지난해 6월 기준 118조5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21일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협력해 이같은 내용의 ‘2022년 화석연료금융 백서’를 출간했다. 에너지 전환에 금융 투자가 필수인 만큼, 포럼은 각 화석연료에 투자된 금융의 규모와 방식 등 실태를 파악하는 보고서를 매년 내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선 석탄뿐 아니라 천연가스와 석유를 처음으로 포함했다.

국민연금을 제외한 국내 화석연료 금융잔액은 지난해 6월 기준 총 118조5천억원이다. 백서는 “올해 정부 예산의 3분의 1에 달하는 수준”이라며 “석탄만이 아니라 석유와 천연가스 등 모든 화석연료 산업에 금융기관이 아낌없는 연료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이 수치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연료별 금융 자산 비중은 석탄이 48.4%(49조2천억원)로 가장 컸고, 천연가스 29.7%(30조2천억원), 석유 21.9%(22조3천억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공적 금융기관은 모든 화석연료에서 민간보다 더 많은 자산을 보유했다. 공적 금융기관 비중은 66%(78조6천억원)로, 민간(39조9천억원)에 비해 1.5배 많다. 이 중 석탄 금융(28조4천억원)이 4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석탄 자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산업은행(23조6천억원)이다. 산업은행은 한국전력의 공기업 경영권 유지 목적으로 한전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화석연료 기반의 전력 판매 비중이 큰 한전에 대한 투자는 석탄 금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산업은행 외 공적·민간 기관이 보유한 한전 및 한전 자회사 채권 총 11조8천억원을 반영하면 한전 관련 자산은 총 32조4천억원이다. 국내 금융기관 석탄 금융 규모의 65.9%에 달한다.

국내 자본은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이동하는 세계적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재생에너지와 석탄 자산에 대한 누적 투자액은 각 30조2천억원, 31조1천억원으로 석탄 누적 투자액이 더 많았다. 반면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자본은 같은 기간 재생에너지 누적 투자 규모가 약 2.6배 더 크다.

백서는 “금융기관들은 ‘2050년 넷제로’ 관점에서 2030년 중간목표를 포함한 장기적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야 한다”며 “정부는 금융기관의 건전성 감독에 ‘기후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그래야만 자본이 기후 전환자금으로, 지속가능한 경제로 흘러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