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검사가 ‘지금 SNS상에 마약 이야기가 떠돌고 있다, 정황은 없지만 그래도 한 번 부검을 해보겠느냐’고 하더라구요. 2차 가해다, 우리 애가 범죄를 저질렀냐, 사기를 쳤냐, 마약을 했냐, 안 한다고 완강히 거부했죠. 그랬더니 알겠다면서 돌아갔어요.”(유가족 A씨)

“(장례식장에 온 공무원이) 다른 장례가 있으니까 방해하지 말라고. 방해가 되니까, 너무 시끄럽게 울지 말라고 (했어요). 다른 유가족들도 그런 제재를 받았더라고요. 다른 희생자들이 우리와 공조할까 봐 조용히 시켰던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유가족 B씨)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위원회는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10·29 이태원 참사 인권실태조사 보고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16일이면 이태원 참사 발생 200일을 맞는다.

‘10·29 이태원 참사, 인권으로 다시 쓰고 존엄으로 기억한다’ 제목의 보고서는 시민대책위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희생자 유가족 등 피해자 14명, 생존자 5명, 지역주민 4명, 구조자 2명, 소방공무원 1명 등 총 26명을 심층인터뷰해 이뤄졌다. 이를 바탕으로 10·29 이태원 참사에서 국가의 부재로 어떤 권리가 박탈됐는지를 △생명과 안전 △존엄 △진실 △지원 △애도에 대한 권리 등 ‘권리 목록’으로 보고서를 정리했다.

보고서는 “10월29일 국가는 없었다”고 상기시켰다. 시민대책위는 “국가는 개인의 책임으로 원인을 돌리면서 참사로 이끈 사회구조 문제를 가리려 했다”며 “진실규명도 묻힐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난참사가 닥쳤을 때 누가 어떤 피해와 고통에 처하게 됐는지, 그들에게 유보된 권리가 무엇인지, 어떻게 책임을 묻고 어떤 제도와 가치를 새롭게 할 것인지를 물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위는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0일 국회의원 183명이 공동발의한 10·29 이태원 참사 피해자 권리보장과 진상규명 및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특별법 제정안 발의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의원은 116명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