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연대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지난 22일 처음으로 공개적인 목소리를 낸 가운데 4·16가족협의회·김용균재단 등 162개 재난·산재 참사 피해자단체와 종교·노동·시민사회단체가 유가족·피해자와의 연대를 선언했다.<본지 11월23일자 2~3면 “유족이 모이면 안 됩니까” 이태원 참사 유족의 ‘절규’ 기사 참조>

이들 단체는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난 참사 해결의 시작은 피해자 목소리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유가족들이 기자회견에서 이태원 참사 책임이 정부와 지자체, 경찰에 있음을 명확히 하고 모든 피해자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하는 등 6가지 요구사항을 발표한 데에 정부가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는 참사 발생 이후 지금까지 유가족과 피해자에게 참사 발생 경위, 수사 진행 상황 등 정보제공을 전혀 하지 않고 의견을 개진하거나 소통할 수 있는 방법도 마련하지 않았다”며 “정부는 피해자들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들의 요구에 기반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태원 참사에서 언론은 무분별한 SNS·커뮤니티 사진·영상 사용과 비극적 현장의 선정적 묘사, 미확인 주장과 유언비어의 여과 없는 인용, 진상규명을 가로막는 무리한 억측, 마녀사냥식 희생양 찾기, 정부책임 물타기 보도 등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며 “2차 가해와 2차 피해를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유가족과 피해자의 참여 아래 참사 전후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와 독립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국정조사가 정쟁의 수단이 되지 않고 생명권 보호를 위한 국가의 책임과 과제를 밝히는 과정이 되도록 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추모공간에 쌓이고 있는 추모의 기록을 서울시가 나서서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을 요청하는 등 추모의 기록과 참사 관련 기록을 투명하게 공개·보존해야 한다”며 “시민추모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