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산업개발 유튜브채널 홍보영상 갈무리

한전산업개발 재공영화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매일노동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한전과 자유총연맹은 올해 2월께 가격협상을 시작했지만 8개월여가 흐른 지금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재공영화를 결정한 2019년 이후 3년 넘게 협상이 공전하고 있다.

한전과 자유총연맹에 따르면 인수 협상은 진행 중이다. 자유총연맹 관계자는 “자세한 사항은 밝히기 어렵다”면서도 “매도 의사를 갖고 한전과 협상 중”이라고 말했다. 한전쪽도 “자유총연맹과 협상을 진행 중이고 비밀유지협약을 체결해 매입 지분율 공개는 어렵다”고 밝혔다. 매입가도 마찬가지다.

가격에 대해서는 엇갈린 관측이 나오고 있다. 노동계쪽에서는 자유총연맹이 주가 반영을 바라는 반면 한전은 10년치 평균 주가를 주장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국회에서는 한전이 500억원대를 제안했다는 이야기도 돈다.

지분율은 대체로 2%를 상회하되 전량 거래는 하지 않는 방안으로 모아진다. 2%는 한전산업개발을 한전이 인수해 재공영화하는 데 필요한 최저 지분이다. 3월 기준 한전산업개발 지분율은 자유총연맹 31%, 한전 29%, 우리사주조합 0.06%, 기타 39.94%다. 한전이 2%만 확보하면 최대주주로 경영권을 확보해 공공기관 지정이 가능하다. 반면 자유총연맹 입장에서는 향후 사업 유지가 불투명한 가운데 29%나 지분을 남길 필요가 없어 전량 매도가 유리하다.

문제는 정부정책이다. 윤석열 정부가 집권한 뒤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재무건전성 제고를 요구하면서 한전은 최대 표적이 됐다. 14개 재무위험기관에 포함돼 가장 먼저 재정건전성계획을 요구받았다. 이런 가운데 수백억원대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한전산업개발 재공영화에서 손을 떼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 한전쪽은 재무건전성 강화 요구에 따른 지분 매입 협의를 정부와 했냐는 서면질의에 “향후 협의 예정”이라고 답했다. 여지를 남긴 셈이다.

일각에서는 한전이 한전산업개발 지분 인수에 소극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 야당 의원실 관계자는 “가격이 맞지 않아 인수협상이 고꾸라졌다는 그림을 그리는 게 아니냐는 이해당사자쪽 발언도 나온다”며 “지분 인수협상 외에 한전산업개발 재공영화를 위한 조직·제도 개편 같은 노력도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한편 정부는 2018년 낙탄 정비를 하다 사망한 고 김용균씨 참사 이후 2019년 한전산업개발을 비롯한 연료·환경설비 운전부문 노동자 정규직화를 위해 한전산업개발을 재공영화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