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과 KB국민은행·신한은행·IBK기업은행이 한국금융안전㈜ 지분을 공동매각한다. 최대주주인 김석 전 대표도 매각에 참여한다.

6일 김 전 대표와 국민은행 등에 따르면 한국금융안전 주요주주는 최근 한국금융안전 주식매각협의회를 구성하고 지난달 31일 나라장터에 은행 4곳과 김 전 대표가 보유(청호이지캐쉬 18.55%·금융안전홀딩스 18.5%)한 지분 96.59%를 매각하기 위한 비상장주식 매각자문 용역업체 입찰공고를 했다. 4곳 은행은 은행이 의결권 있는 지분을 15%를 초과해 소유할 수 없도록 한 은행법에 따라 14.67~15%씩 소유하고 있다.

2019년 취임한 김석 전 대표
노사갈등·적자운영 논란 중심

은행이 지분매각을 결정한 데는 최근 지속된 김 전 대표와 노동자 간 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표는 2014년 한국금융안전 최대주주가 된 이후 2017년 한 차례 대표이사 취임을 시도했다가 노조 반대로 실패하고, 이후 2019년 대표에 취임해 최근까지 회사를 운영했다.

이 기간 동안 김 전 대표는 그의 고교 동문이 운영하는 경쟁업체 브링스코리아와 석연치 않은 금융거래를 했다고 주장하는 노조와 갈등했다. 또 대표 취임 이후인 2019년 이후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서 경영 능력에도 의문부호가 붙었다. 금융권 현금과 문서수송을 하는 한국금융안전이 수수료를 인상하지 않는다며 은행과 물류계약을 해약하는 등 주주은행과도 갈등을 빚었다.

김 전 대표는 최근에는 주주은행과도 사이가 멀어졌다. 지난해 시도한 유상증자가 직접적인 원인이다. 회사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김 전 대표는 지난해 9월 이사회에서 예정에 없던 20억원 유상증자안을 제안했다. 주주은행이 예정에 없던 논의라며 반발했지만 그대로 증자안을 밀어붙였다. 이후 우리사주조합이 신주발행금지 가처분을 신청했고 법원이 이를 인용했다. 대립을 지속하던 주주은행은 지난 7월 김 전 대표의 대표 연임에 반대했고, 결국 지난 7월22일 김 전 대표는 대표 임기 만료로 물러났다. 현재는 사내이사로 재임 중이다.

노사갈등과 주주 간 갈등까지 겹치면서 은행은 결국 스스로 설립한 현금수송업체 운영에서 손을 떼는 모양새다. 김 전 대표는 <매일노동뉴스>와의 통화에서 “은행들이 주도해서 지분 매각을 요구했고 회사 정상화를 위해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낮은 수수료’ 유지한 은행 책임론
지부 “금융위, 매각 과정 부당개입 가능성 있다”

문제는 이후다. 실제 인수가 이뤄지지 않으면 장기간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있다. 3년간 적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은행이 모두 지분을 매각하는 터라 인수자가 쉽게 나타나지 않을 여지도 크다.

은행은 한국금융안전 경영난을 방조한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경영난의 기저에 턱없이 낮은 물류계약 수수료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특정 주주은행이 한국금융안전과 체결했던 100억원 규모의 물류계약을 경쟁업체로 옮기기도 했다며 자해행위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노동자들은 금융당국의 부당한 개입을 우려하고 있다. 이동훈 금융노조 한국금융안전지부 위원장은 “최근 주주협의회에서 김 전 대표가 본인이 거느린 금융안전홀딩스(현 렉스라피스) 임원을 상임이사로 추천했다”며 “해당 임원은 금융위원회 고위관료와 서울대 동문으로 친분을 유지하고 있어 매각 과정에 금융당국이 부당하게 김 전 대표의 편을 들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전 대표가 지분을 매각한 뒤에도 측근을 통해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미약하나마 정상화의 가능성이 열린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부당하게 개입해선 안 된다”며 “앞서 몇 차례 유력인사들이 한국금융안전 사태에 개입해 악영향을 끼친 만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부는 8일부터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