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예슬 기자

쌍용자동차 노동자가 산업은행에 대출 원금 지연이자 196억원의 탕감과 원금 출자전환을 요청했다. 쌍용차는 KG그룹 컨소시엄과 매각협상을 마무리하고 관계인집회만 남겨 놓은 상태다.

쌍용자동차노조(위원장 선목래)는 1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산업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는 산업은행의 결단을 촉구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지연이자 탕감 요구는 관계인집회를 10여일 앞두고 나왔다. 이달 26일 쌍용차 회생절차에 대해 채권자·주주의 동의를 받는 관계인집회가 열린다. 회생담보권자의 4분의 3, 회생채권단의 3분의 2, 주주의 2분의 1 이상이 동의해야 회생계획이 최종 인가된다. 하지만 변제율이 낮아 난관이 예상된다. 340여개 협력업체로 구성된 상거래 채권단 중 60%는 중소업체다.

KG그룹이 최근 30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하면서 변제율이 41.2%로 올랐지만 현금 변제율은 13.92%로 여전히 낮다. 협력사들은 법정관리 이전 3천800억원의 회생채권이 동결됐고, 법정관리 이후엔 자재대금 2천500억원도 받지 못했다. 반면 산업은행의 채권은 전액 변제된다. 산업은행이 지연이자를 변제해 줄 경우 채권단의 변제율은 오른다.

최병훈 상거래 채권단 사무총장은 “KG그룹이 300억원을 내놓았지만 산업은행은 지연이자 200억원도 못 내놓겠다는 상황”이라며 “일반 서민들도 어려우면 이자를 조정하고 신용을 회복해 주는데, 유독 쌍용차 협력업체 채권자만 몇천 억원씩 손해를 보는 이런 사태가 일어나는 것인지 상식과 정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선목래 위원장은 “산업은행이 자동차 부품산업을 육성하고 산업 생태계를 보전하는 것은 국책은행으로서 본분”이라며 “산업은행은 지연이자를 포함해 100% 현금변제받고 중소·영세 협력사의 (채권) 14% 현금변제가 공정한 변제 방식인지 묻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선 위원장은 “최소한 국책은행 스스로 지연이자를 탕감함으로써 협력사의 현금 변제율을 제고하는 게 기본 상식이자 사회 정의”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마치고 산업은행 관계자에게 지연이자 탕감과 대출원금 출자전환 요구를 담은 요구안을 전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