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상환능력을 보여주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해 206%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28일 “전년인 2020년과 비교할 때 8%포인트 이상 증가한 수치”라며 이같이 밝혔다.

장 의원은 한국은행이 지난 8일 발표한 2021년 국민계정(잠정)의 가계 및 비영리 단체 순처분가능소득에서 한국은행이 4월 발표한 2021년 자금순환(잠정)상 부채를 나눠 분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계부채 국제비교를 할 때도 같은 수치를 사용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 비율이 206.6%로 전년보다 8.6%포인트 늘었다. 2020년에도 가계부채 비율은 전년보다 9.8%포인트 늘었다. 2018년과 2019년에 가계부채 비율 증가 폭이 각각 3.2%포인트 수준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증가 폭이 가파르다.<표 참조>

2020년과 지난해에 가계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각각 3.8%와 4.9%였으나 같은 기간 부채 증가율은 9.2%와 9.4%였다. 우리나라 지난해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기준과 비교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5번째로 높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장 의원은 “코로나19 위기와 자산시장의 폭등을 겪은 지난 2년간 가계 가처분소득보다 부채가 두 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한 결과”라며 “그렇지 않아도 높은 가계부채 비율이 더욱 악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조정 없이 증가해 왔고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크게 늘었다”며 “금리인상 등으로 상환 부담도 급격히 높아지는 만큼 회생·파산 제도를 개선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