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이 코로나19가 강타한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소득을 지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이 2019년과 비교해 대폭 증가했지만 가구당 평균 부채도 8천801만원으로 6.6% 늘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16일 이런 내용의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가계의 자산과 부채·소득, 지출을 점검해 경제적 삶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다.

부동산 중심 자산 증가에도 3억원 미만 가구 58.7%

올해 3월 기준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은 5억253만원이다.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1천452만원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6천125만원이다. 세금 같은 비소비지출은 1천122만원으로,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5천3만원이다. 소득과 지출은 2020년 기준이다.

순자산을 기준으로 보면 가구 평균은 4억1천452만원으로 2019년 3억6천287만원과 비교해 늘었다. 다만 여전히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순자산 3억원 미만 가구의 비율이 전체 가구의 58.7%로 나타났다. 평균 순자산의 2배가 넘는 10억원 이상 보유 가구 비율은 9.4%다. 2019년과 비교해 2.3%포인트 오른 것으로, 순자산 보유액 구간별 가구 분포에서 전년도와 비교해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였다. 평균 순자산이 증가하는 가운데 자산의 양극화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런 현상은 소득 5분위별 가구당 순자산 분포를 살펴보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소득 1분위의 순자산 보유액은 올해 3월 기준 1억4천701만원으로 2018년 1억1천877만원과 비교해 2천825만원(23.8%) 올라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5분위 순자산 보유액은 올해 3월 기준 9억112만원으로 1분위의 6배를 넘었다. 증가액도 1억703만원(13.5%)다. 게다가 점유율로 비교해 보면 5분위의 점유율은 절반 가까이인 43.5%인 데 반해 1분위는 7.1%에 그쳤다.

자산 증가는 대부분 실물자산, 즉 부동산인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실물자산 구성비율을 보면 실물자산이 전년도 76.4%에서 1.1%포인트 오른 77.5%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소득 201만원 증가
사업소득은 16만원 줄어

소득은 늘었다. 지난해 기준 가구소득은 6천125만원으로 2019년(5천924만원)과 비교해 201만원 늘었다. 노동소득은 3천791만원(2019년)에서 3천855만원으로 64만원 증가했다. 사업소득은 1천151만원(2019년)에서 1천135만원으로 16만원 줄었다.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공적이전소득이다. 재난지원금 같은 정부의 지출확대 영향이다. 공적이전소득은 457만원(2019년)에서 602만원으로 145만원(31.7%) 늘었다.

공적이전소득의 중요성은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커졌다. 소득 1분위의 가구소득 1천294만원 가운데 610만원(47.1%)이 공적이전소득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은 307만원(23.7%)에 그쳤다. 공적이전소득 비중은 2분위 22%, 3분위 13.6%, 4분위 7.8%, 5분위 3.7%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에도 불평등 지표는 일부 개선했다. 지니계수는 2019년보다 0.008 감소한 0.331로 조사됐다. 소득 5분위 배율도 6.25배에서 5.85배로 완화했다. 무엇보다 상대적 빈곤율이 16.3%에서 15.3%로 1%포인트 줄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 정도를 0과 1 사이에서 나타낸 지표료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한 것으로 본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소득 상위 20%(5분위) 소득이 하위 20%(1분위)의 몇 배인지를 나타낸 지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