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나영 기자

“일본 정부는 강제 징용 즉각 사죄하라.”

1일 오전 서울 용산역광장에서 구호가 울려 퍼졌다. 목소리의 주인공인 9명의 양대 노총 간부들은 용산역광장에 서 있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앞에 하얀 국화꽃을 놓고 참배했다. 강제징용 노동자상은 갈비뼈가 드러난 깡마른 몸으로 비를 맞고 서 있었다. 양대 노총이 이날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함께 찾았다.

양대 노총은 “3·1 운동 102주년을 맞이하는 지금까지도 일본이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와 반성·배상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8년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일본이 무역 보복조치를 한 것은 역사 왜곡이자, 피해자에게 2중·3중의 고통을 가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국제노동기구(ILO)는 1930년부터 강제노동 금지협약을 채택해 온 만큼 강제징용은 국제법을 위반한 범죄행위”라고 비판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도 “한국노총은 한 세기를 거쳐 이어지는 일본 정부의 반역사적·반인권적 만행을 강력히 규탄하며, 역사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과 투쟁에 언제나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에는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살아 있을 때 과거사 청산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양대 노총 위원장은 “자주권을 잃은 나라에서는 노동자들이 고통을 받는데, 정부는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추진하는 것을 비롯해 자주권 확보에 적극적이지 않는 듯싶다”며 “양대 노총은 한국 사회 자주권 확보에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은 “부끄러운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책임지는 당당한 나라, 상호 호혜적 동반자로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소중히 가꾸고 지키는 나라로 한일 양국이 거듭나길 바란다”고 전했다.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자리 잡은 용산역은 일제강점기 징용노동자들을 집결시킨 장소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