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지난 8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두고 왜 제각각의 결과가 나오는 걸까?

결정적인 이유는 장기임시노동자 490만명(다른 고용형태와 중복을 제외하면 353만명)을 비정규직에 포함시키느냐 아니냐에서 비롯된다는 설명이다. 김유선 부소장은 장기임시근로를 비정규직에 포함시킨 반면, 최경수 연구위원, 안주엽 실장은 이들을 정규직으로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날 보고의 핵심은 종사상 지위는 임시·일용직인데, 근로계약을 정하지 않고 장기간 일하는 임시근로를 정규직으로 포함할거냐, 아니냐로 모아진다는 것.

김 부소장의 근거는 장기 임시노동자는 노동조건에서 정규직과 현격한 격차를 보이는데다, 비정규직 일반이나 계약노동자보다도 더 열악한 처지에 빠져있다는 것을 들고 있다. 예컨대 장기임시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86만원으로 정규직의 169만원의 51.3%, 비정규직 평균 89만원, 계약근로 90만원 보다도 더 낮다고 주장. 또 김 부소장은 이들 장기임시노동자의 평균 근속연수는 1.83년으로 비정규직 1.80년, 계약근로 1.31년과 대동소이해 '장기'라는 말이 무색하게 '고용불안정'을 보이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밖에 장기 임시근로에는 여성의 50%, 기혼여성의 56%, 중졸이하의 53% 등 취약계층에 집중하고 있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반면 최경수 연구위원은 "김 부소장의 비정규직 범위는 너무 넓다"며 고용안정성이 한시적이거나(단속적, 계속근로 불가능 등), 고용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은 비전형 노동자(파견, 용역, 독립도급, 재택근로)를 포괄해 '비정형근로자' 규모를 추출했다. 또 안주엽 실장은 간접, 특수고용, 시간제근로, 1년미만 유기계약자, 고용지속가능성 제한적인 무기계약자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안 실장은 "임금근로자 중 최대 24.0%가 실질적인 정규직임에도 비정규직으로 오분류돼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