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오는 20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잠정합의안에 대해 동의를 구하기로 했지만 반대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대의원대회 성사와 잠정합의안 통과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일 오후부터 3일 새벽까지 진행된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노사정 합의안 추인이 무산되자 임시대의원대회를 소집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 규약에 따라 임시대대를 소집하고 노사정 합의 안건을 제출해 심의·의결하겠다”고 밝혔다.

규약에 따르면 민주노총 위원장은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임시대의원대회를 소집할 수 있다.

대회 성사 여부도 불투명 … “대의원들도 반대할 것”

5일 민주노총 가맹·산하조직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의원대회가 정상적으로 열리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선 중앙집행위원들 반대가 거세다.

중집위원인 부위원장 7명 중 6명, 산별노조·연맹 대표자 16명 중 10명, 지역본부장 16명 전원이 지난 3일 노사정 잠정합의안 폐기와 임시대대 소집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에 참여했다. 중집위원 56명 중 32명으로, 위원장·수석부위원장·사무총장과 사무총국 간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동참했다.

대의원대회를 열려면 재적인원 절반 이상이 참석해야 한다. 의결 요건은 출석인원 과반수 찬성이다. 중집위원 대다수가 반대하는 상황에서 잠정합의안이 대의원대회를 통과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노사정 잠정합의안을 반대하고 있는 ‘비정규직 이제그만’의 김수억 공동소집권자는 “중집에 속한 대다수 산별노조·연맹 위원장과 지역본부장들이 명확하게 반대 입장을 냈다”며 “대의원대회에서 이 벽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주노총은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온라인으로 대회를 여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대의원대회 재적인원은 1천400여명이다. 모바일 투표 특성상 응답률이 떨어질 수도 있다.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대회를 열어도 의사정족수를 채우기가 만만찮은 실정이다.

한 임원은 “현실적 어려움이 있는 데다가 노사정 잠정합의안에 독소조항까지 있어서 대부분 대의원들이 동의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현장에서도 반대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취약계층 위한 잠정합의안, 평가 기회는 줘야”

반면 대의원대회 성사와 긍정적인 표결 결과를 예상하는 이들도 있다. 노동운동에 오랜 시간 몸담은 상층간부 중심의 중앙집행위와, 그렇지 않은 이들도 섞여 있는 대의원대회 판단은 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앙집행위는 민주노총 중앙임원과 사무총국 실장급 이상 간부, 산별노조·연맹 대표, 지역본부 대표자로 구성된다. 대의원대회는 전체 조합원 500명당 1명 꼴인 대의원으로 구성된다.

한 산별연맹 위원장은 “대의원들이 보이콧을 시도할 수도 있고, 그것도 의사 표현일 수 있다고 보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렇지 않을 것으로) 대의원들을 믿는다”며 “또 (잠정합의안에 반대하는 정파의) 영향력 안에 있는 대의원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대의원도 있기 때문에 대회는 성사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사정 잠정합의안 내용과 절차면에서) 김명환 집행부가 잘못한 것도 있지만 100만 조합원의 직선 투표로 당선된 집행부인 만큼 기회를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중집위원도 “임시대의원대회 개최를 반대한다는 입장의 연서명이 나와서 위축되는 부분도 있지만 대의원대회는 중앙집행위와는 다를 것이라고 본다”며 “조직되지 않은 취약계층을 위한 것이라는 사회적 대화 취지와 합의서 의미를 대의원들이 정확하게 이해하면 뭔가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조합원들이나 국민들에게 충분히 알리고 나서 평가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의원대회에서 노사정 잠정합의안이 통과하지 못하면 김명환 위원장은 사퇴 압박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 임기는 올해 말까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