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대에 대중교통업체에 대한 지원 확대와 사회경제적 약자들에 대한 대중교통 요금할인 같은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대중교통 수요가 낮아져 대중교통 공급이 줄어들면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피해를 본다는 지적이다.

사회공공연구원은 23일 이슈페이퍼 ‘코로나19가 대중교통에 미친 영향과 각국 대응의 시사점’을 통해 코로나19가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대중교통에 미친 영향과 대응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사회경제적 약자들은 코로나19 유행시 대중교통 외의 수단을 이용하기 어렵다. 지난해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월소득 100만원 미만은 1.6%가 승용차를 사용해 출퇴근하는 반면 월소득 500만원 이상은 22.5%가 승용차를 이용한다.

문제는 코로나19 시대에 대중교통 수요가 낮아지고 대중교통업체 경영이 악화하면 교통서비스 공급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버스·도시철도는 첫 국내 확진자가 발견된 1월 3주차를 기준으로 3월 1주차까지 승객이 35.4% 감소했다. 고속·시외버스는 같은 기간 65% 줄었다. 철도는 1월28일부터 5월13일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7% 감소했다.

대중교통업체 경영은 나빠졌다. 버스는 올해 2~3월 운임수입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천600억원 줄었다. 코레일은 1월28일~5월13일까지 전년 동기 대비 4천532억원 감소했고, 서울교통공사도 지난해 1~4월보다 올해 같은 기간에 1천270억원이 낮아졌다.

경영이 악화하면 대중교통 공공서비스 질도 하락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실제로 경기도 가평 버스업체인 가평교통과 같은 경우 코로나19 사태로 4개 노선에서 버스 9대의 운행을 멈췄다. 경기도 버스운송사업조합에 소속된 70여개 업체 중에서는 수입이 줄어 노선을 반납하는 업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공공연구원은 “대중교통업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필수적인 대중교통 공급을 유지하고, 저소득층을 위한 대중교통 요금할인과 부분적 무상교통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영국 정부는 코로나19가 확산하자 지난 4월 버스 프랜차이즈 회사들에게 4억파운드(6천억원) 가량의 보조금을 지급했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도시 애크런·캔턴·털리도·영스타운 등은 3월16일부터 무상교통을 실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