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을 하루 앞둔 10일 오후 현재 노조와 정부의 대화전망은 극히 불투명하다. 오히려 9일의 2차 교섭이 결렬된 이후 노-정간 대립이 첨예화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정부가 10일 강경대응 방침을 재차 천명하는가 하면 노조는 파업돌입을 기정사실화하고 조합원 동원 등 제반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결국 대화가 있긴 했으나, 사태를 진정시키기에는 미치지 못했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대화에 임하는 노조와 정부의 시각차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노조는 요구사항을 갖고 '협상'에 임한 반면, 정부는 '설득'차원에서 교섭테이블에 나왔다는 얘기다. 교섭결렬 직후 금감위 김영재 대변인은 "금융개혁은 교섭대상이 될 수 없다. 다만 인내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설득에 나서겠다"고 말해 정부의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현 사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카드가 그저 '설득'수준의 대화밖에 없느냐는 질타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금융노조의 총파업 이유를 사실상 '고용불안'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는 정부가 최소한 이와 관련한 진지한 방안이라도 제시해야 대화가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정부가 그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흔적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노조는 9일 교섭결렬 직후 "더 이상 (이용근 금감위원장과 이헌재 재경부장관을) 교섭 파트너로 인정할 수 없다"며 "보다 책임있는 정부인사가 나서라"고 밝힌 것도 사실상 이같은 정부의 태도에 대한 비난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부입장의 변화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이를 위해서는 시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 총파업 돌입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