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늙어 가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넘으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우리나라 인구는 5천142만3천명으로 전년(5천127만명)보다 15만3천명(0.3%) 늘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77만5천명에서 711만5천명으로 34만명(0.7%) 증가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2%로 높아졌다. 국제연합(UN)은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르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령인구 비중이 7%에서 14%로 늘기까지 일본은 1970년에서 1994년까지 24년이 소요됐다"며 "통계청이 파악하기로 고령화가 가장 빠른 속도로 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지 17년 만에 고령사회가 됐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천619만6천명으로 2016년(3천631만2천명)보다 11만6천명(0.3%) 줄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4세 이하 유소년은 같은 기간 676만8천명에서 663만2천명으로 13만명 넘게 감소했다. 유소년보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48만3천명 많다.

시·도별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전북(19.0%)·강원(18.0%) 순이다. 세종시(9.3%)는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147만9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2.9%를 차지했다. 2016년보다 4.6%(6만5천명) 증가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