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송면·원진노동자 산재사망 30주기 추모조직위원회와 반올림 회원들이 2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열린 ‘문송면, 원진 30주기 추모와 반올림 농성 1000일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기훈 기자>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가 문송면군 사망 30주기와 반올림 농성 1천일을 맞아 ‘재벌의 탐욕’을 산재 발생 원인으로 지목하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요구했다. 문송면·원진노동자 산재사망 30주기 추모조직위원회와 민중공동행동·반올림은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규모 11위 국가로 성장했지만 노동자들의 산재사망은 30년 전과 달라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1988년 7월2일은 15세 소년노동자 문송면군이 수은중독으로 사망한 날이다. 그는 전년 12월 압력계기와 온도계 제조업체에서 일은 시작한 지 두 달도 안 돼 병을 얻었다.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 끝내 숨졌다. 같은해 여러 노동자가 이황화탄소에 집단으로 중독된 원진레이온 사건이 공론화했다. 915명의 노동자가 이황화탄소에 중독됐다. 현재까지 230명이 목숨을 잃었다.

두 사건은 한국 사회에 노동안전보건운동을 촉발했다. 그렇지만 30년이 지나도록 현실엔 변화가 없다. 삼성 직업병 문제가 대표적이다.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에 따르면 삼성그룹 전자산업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 중 320명이 일하다 병을 얻었다고 제보했는데 이 중 118명이 사망했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반올림이 서울 서초구 삼성 본관 앞에서 직업병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농성을 시작한 지 1천일이 되는 날이다. 삼성은 직업병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와 보상 요구에 응답하지 않고 있다.

삼성 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대·SK·대우·포스코 같은 재벌기업 계열사에서 수많은 노동자들이 산재로 숨진다. 매년 600명 이상이 사망하는 건설현장, 매년 2천400명 넘게 산재로 목숨을 잃는 대한민국 자체가 문송면이고 원진레이온 노동자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재발생 1위 국가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재벌 대기업의 탐욕을 위한 무차별적인 위험의 외주화가 중단되지 않으면 산재사망 1위국 오명은 지속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노동자·주민·소비자의 화학물질 알권리 완전 보장 △위험의 외주화 금지를 요구했다.

한편 30주기 추모조직위는 7월 첫째 주 산업안전보건 강조주간을 맞아 4일 삼성 사옥 앞에서 ‘삼성 포위의 날’ 행사를 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