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질식사고 예방대책 마련에 나섰다. 올해 들어 7월까지 12명이 질식재해로 사망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명이 늘었다.

노동부는 25일 “밀폐공간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지 못해 보호장비를 활용하지 않으면서 밀폐공간 질식재해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며 “관련 부처와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질식재해예방 네트워크를 구축해 축산분뇨 처리장 등에 위험정보를 전달하고 예방장비를 보급한다”고 밝혔다.

여름철에는 높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축산분뇨 처리장이나 하수관거의 황화수소 농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실제 질식재해 사고 현장의 황화수소 농도는 노출기준(10피피엠)보다 10~50배 높게 측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부는 축산농가의 질식재해 예방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대한한돈협회 등과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질식재해 예방교육 및 보호장비 무상임대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전기·통신시설이 매설된 맨홀이나 화학탱크에서 발생하는 사고 예방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한국전기공사협회·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한국석유화학협회·대한석유협회 등과 협력해 각 협회 2만3천여 회원사를 대상으로 질식재해 위험정보를 전달하고 예방장비 도입을 지도한다.

이 밖에도 공공기관이 오·폐수처리시설의 맨홀이나 하수관거 배관공사를 발주할 때 계약서에 근로자 교육과 예방장비 구비, 재하도급 금지 내용을 명기하도록 전국 240여개 지방자치단체와 210여개 주요 발주기관(KT·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 등)에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김왕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위험성 인식과 예방 장비의 효과적인 보급·사용이 중요하다”며 “질식재해예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질식재해 예방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