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관리직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여성가족부는 18일 오후 열리는 국무회의에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계획’의 2016년 이행실적과 향후 계획을 보고한다고 17일 밝혔다.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2013~2017년)은 2013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했다. 계획에 따라 정부는 매년 공공부문 7개 분야의 여성 대표성 확대 목표 이행실적을 상·하반기에 걸쳐 점검한다.

여가부 조사 결과 공공부문의 경우 지난해 목표를 초과 달성한 분야가 많았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정부위원회 여성위원 비율은 37.8%로 당초 목표(37%)를 웃돌았다. 올해는 4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성 교장·교감 비율(37.3%)도 목표(34.9%)를 뛰어넘었다.

적극적 고용개선 조치 미이행 사업장 명단공표 제도가 도입된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비율은 목표치(16.8%)를 초과한 17.2%를 기록했다. 4급 이상 여성공무원(13.5%)과 여군 장교(7.1%)는 목표치와 실적이 같았다. 일반여경과 해경여경 비율은 각각 10.6%와 10.8%로 올해 목표(10%)를 조기 달성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여성 대표성 수준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 우리나라 공공·민간부문 여성관리직 비율은 10.5%로 OECD 평균(37.1%)을 한참 밑돌았다. 스웨덴(39.8%)·미국(43.4%)·영국(35.4%)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 커진다.

정부는 올해 수립하는 2차 계획(2018~2022년)에 여성관리직 비율이 현저히 낮은 분야와 관련한 대책을 포함시킬 계획이다. 강은희 여가부 장관은 “여성고위직 확대를 포함해 공공부문이 선도해 우리 사회 전체의 여성 대표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