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을 잃어 더 이상 성장이 어려운 한계기업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한계기업은 정상적인 기업보다 고용감소 비중이 두 배 높아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3일 정한나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이 작성한 ‘한계기업 특성과 고용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피보험자 100인 이상 기업 1만7천841개 중 14%가 한계기업이었다.

2005년 10%였던 한계기업 비중은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 13.3%까지 상승한 뒤 2010년에는 10.7%로 감소했다. 그러다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2013년에는 14.5%를 기록했다.

3년 연속 한계기업인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52.2%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운수업이 17.3%로 뒤를 이었다.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제조업 중에서도 3·4·5년 반복적으로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기업이 많은 산업은 디스플레이(31.9%)·반도체(23.7%)·가전(19.2%)·철강(17.2%)·자동차(15.9%)였다.

2013~2014년 10% 고용이 감소한 기업 비중을 보면 한계기업은 23.5%로 정상기업(10.4%)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30% 이상 고용이 감소한 기업을 산업별로 분류하면 디스플레이(17.4%)·조선(9.4%)·석유화학(8.3%) 순이었다. 한계기업이 많은 산업일수록 고용감소 폭도 크다는 것을 보여 준다.

정한나 부연구위원은 “부실위험을 안고 있는 한계기업이 한국 경제상황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며 “제조업 기업들이 도산하지 않고 건전성을 갖춰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