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차 처리방안의 예가 현재 대우차의 위기를 극복해낼 수 있을까?

대우차노조 정상화추진위, 사무노위가 22일 오후 대우차 홍보관에서 '부산지역 삼성자동차 살리기 운동' 사례 발표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날 자리는 삼성차가 르노에 매각되기까지의 과정을 보며, 부산지역에서 어떻게 '삼성차 살리기'에 나섰는가에 초점을 맞추며 현재의 대우차 상황과 비교를 하고 있다.

■ 삼성차는 어떻게 매각이 됐나?

삼성차 매각과정은 이렇다. 삼성차는 95년 설립후 3년만에 SM5를 출시했으나, 97년 외환위기때 재무구조 악화로 결국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SM5 판매가 중단되고 종업원들의 동요가 있었으나, 외자도입을 위한 매각협상이 진척되면서 6,400명의 인력 중 4,400명이 삼성그룹 관계사나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나 2,000여명만이 남았다. 이후 삼성차는 르노사에 자산을 매각, 99년말 청산절차를 밟아 해산됐고 르노삼성차가 출범한 후에는 SM5 생산재개, A/S활동 정상화로 판매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

이를 두고 삼성차 매각 당시 '정치적' 중개인 역할을 했던 노무현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서 "삼성차와 대우차 사태는 성격과 내용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어 해결방안 역시 달라야 한다"면서도 "삼성차 문제해결 과정에서 얻게된 몇가지 결론들이 대우차 문제 해결에 뜻깊은 교훈이 될 것"이라고 진단하고 나섰다. 노 전 장관이 삼성차 처리를 보며 내놓은 교훈은 ▲기술력·자금력·영업력을 갖춘 업체가 들어와야 한다 ▲책임있는 구심 형성이 필요하다 ▲여론을 두려워말고 주도해가야 한다 ▲당사자간 합의한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로 집약되고 있다. 우선 공장이 가동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자금·영업력이 받쳐줘야지, 국적문제는 차후의 문제라는 것이다. 또한 삼성차는 '공장운영 가능 업체에 매각한다'는 원칙을 끝까지 고수해 해결방안을 찾았다는 주장.

■ 삼성차 사례와 대우차 현재의 공통점과 차이점

사실상 이날 사례발표회는 비록 삼성차와 대우차의 사정이 다르더라도 앞으로 대우차 처리가 어느 방향으로 갈지 우회적으로 윤곽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실제 현재 대우차 처리를 둘러싼 움직임이 비슷한 모양새를 띠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인천시, 대우차, 여야정당, 인천지역 일부 시민단체 등이 '대우차 사주기 운동'을 지난해말부터 벌여왔으며, 최근에는 이날 발표회 주최측인 '대우차노조 정상화 추진위'가 발족해 "우선 회사를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조건부 해외매각 찬성론'을 펼치면서 GM매각을 염두에 둔 회사 정상화방안 찾기에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또한 그동안 단절돼왔던 노사, 노정관계를 회복해 GM 인수협상 과정에서 조합원의 목소리를 내야 하며, GM측 역시 르노와 같이 안정된 노사관계, 회사정상화 의지를 보고 마음의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다.

반면 삼성차 사례와 달리 대우차는 노동조합이 '해외매각'을 반대하고 있고, 이미 정부가 지난해 해외매각에 한차례 실패하면서 3년여를 대우차를 방치하면서 신뢰를 잃고 있다는 점이 결정적인 차이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밖에 '부평공장 폐쇄'라는 가장 큰 걸림돌이 남아있어 '달라도 너무 달라' 단순비교는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여기에서 삼성차와 대우차 처리 비교를 통해 해결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지는 좀더 두고 봐야할 것 같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