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금융권 보신주의를 타파하겠다며 밀어붙이고 있는 기술금융 활성화 정책이 관치금융 의혹으로 번진 가운데 이번에는 은행 직원의 성과평가체계(KPI)에 기술금융 관련 항목이 반영돼 논란이 되고 있다. 은행들이 과도한 기술금융 실적에 급급하면서 자칫 부실대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위원회는 28일 오전 2015년 1차 금융혁신위원회를 열고 성과평가체계를 비롯한 은행 내부관행 개선방안 등 4개 안건을 논의했다.

금융위와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앞으로 은행권은 KPI에 기술금융 관련 평가항목을 반영해 기술금융을 장려한다. 예컨대 기술금융 취급실적·잔액·신용대출 비중·차주수·창업기업 차주수 항목을 은행별로 신설하거나, 기술금융 취급실적에 따라 120~150% 가중치를 부여하는 식이다.

은행권에서는 KPI에 기술금융이 반영되면서 평가대상 영업점 중 21~75%가 등급 변동이 생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KPI 평가 결과 1개 등급이 바뀌더라도 직원 성과급 지급률이 최소 10%에서 최대 100%까지 변동할 수 있다.

임원진 성과보상 체계에도 기술금융을 포함한 혁신성 평가 결과가 반영된다. 임원 성과급은 기술금융 확산 실적 여부에 따라 5%에서 12% 가량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 대출 부실 발생시 여신담당자에 대한 면책 범위도 확대된다.

정부가 기술금융의 양적 확대에 치중하면서 금융권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은행들이 과도하게 실적경쟁에 뛰어들면서 부실대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임수강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은행들이 성과주의를 강하게 밀고 나가게 되면 필연적으로 수익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기술금융 드라이브가 전체 금융산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