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처리와 관련 공세적 기업경영이나 판매전략을 세워 대우차를 우선 독자적으로 회생시킨 이후에 매각이나 국민기업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9일 한나라당 대우자동차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공청회에서 가톨릭대 조돈문 교수가 주제 발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GM으로 인수될 경우 대우차가 생산하청기지화되거나 수출감소로 인한 생산감축과 공장폐쇄 혹은 억압과 갈등의 노사관계로 인한 경영실패의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조교수는 또 미국의 경제침체 축소경영을 지향하며 구조조정을 시작한 GM이 최악의 경우 대우차 인수조건를 악화시키거나 포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조교수는 △정부, 채권단, 대우차 노사, 시민대표들이 함께 하는 대우차를 살리기 국민적 기구(국민기구)의 가동·조직 △공세적 기업경영 및 판매전략 전개 △신모델과 엔진개발을 위한 투자 정상화 △정부, 채권단,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 등을 통해 '대우차살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방송대 경제학과 김기원 교수는 "GM에만 목을 매지 말고 동시에 독자생존의 길도 모색"하는 '양갈래 전술'이 필요하다며 "대우차를 청산 처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우차를 살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좋은 조건에 매각이 가능하고 설사 매각이 무산되더라도 대우차가 생존 발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산업연구원 송병준 지식산업연구실장은 "매각이 지연된다면 손실만 늘어날 것이다"며 대우차의 가치를 유지하고 고용감축을 최소하기 위해서도 매각절차를 가속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그간 4.10 경찰폭력진압과 관련해서는 정치권에서 쟁점이 된 바 있으나, 대우차 처리방안과 관련 야당이 공청회를 열 것은 이례적인 일이어서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