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고를 겪던 일가족 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는데요. 누리꾼들은 이들 가족을 애도하는 한편 "한국은 더 이상 미래가 없다"며 울분을 터트리고 있습니다.

- 사건은 지난달 30일 오전 인천시 남구의 한 빌라에서 12살 A양이 포함된 가족 3명이 숨져 있는 것을 담임교사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하면서 알려졌습니다.

- 경찰은 엄마와 A양이 먼저 목숨을 끊은 뒤 이를 발견한 아빠가 뒤따라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여기에 A양의 유서가 발견되면서 누리꾼들은 더 비통해하고 있습니다.

- A양은 "그동안 아빠 말을 안 들어 죄송하다. 밥 잘 챙기고 건강 유의해라. 나는 엄마하고 있는 게 더 좋다. 우리 가족은 영원히 함께할 것이기에 슬프지 않다"고 적었다고 하네요.

-이 같은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이게 대한민국의 현실", "언제까지 일가족이 생계 때문에 자살해야 하느냐"며 비통해하고 있습니다.

- 12살 소녀까지 유서를 쓰고 생을 마감해야 하는 대한민국이 서글픈 하루입니다.

국민 4명 중 1명은 통신 사찰 대상?

- 지난달 31일 미래부가 2014년 상반기 통신제한 및 통신사실 확인자료 제공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감청, 통신내용 조회에 대한 통계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예년과 달리 홈페이지에는 게시되지 않고 언론사에만 배포됐는데요.

- 3일 진보네트워크 등 정보·인권단체들로 구성된 사이버사찰긴급행동은 이와 관련해 논평을 내고 "정부의 통신감시가 급증했으며, 이를 방지할 법·제도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 미래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통신내역·위치정보 등의 통신사실 확인은 무려 614만3천984건에 달했습니다. 사이버사찰긴급행동은 "1년치를 추산하면 1천290만 건인데, 정보수사기관이 1년간 국민 4명 중 1명의 통신사실 확인자료를 쓸어가 마구잡이 사찰을 벌인 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름·주민등록번호 등 통신자료 49만2천502건이 정부에 제공됐는데요. 이러한 통신자료는 대상을 특정하고 신원정보를 제공받는 것임에도 법원의 허가나 영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인권침해 소지가 더욱 크다는 지적입니다.

- 감청기관별로 살펴보면 전체 감청건수의 95%는 국가정보원에 의해 실시됐습니다. 사이버사찰긴급행동은 "국민에 대한 국가의 마구잡이 식 사찰은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우려하며 사이버사찰금지법 도입을 촉구했습니다.

따뜻하고 톡톡 튀는 소셜벤처 아이디어

- ‘강의가 빈 시간에 대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플랫폼 제작’, ‘기초생활수급 가구 대학생의 생활비 부담 경감사업’, ‘방송장비가 열악한 농어촌 소외지역 학교의 방송시설을 PC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작된 방송장비로 교체’, ‘경리사원이 없는 성남시 소상공인의 회계·세무 업무를 대행해 주는 사회적 협동조합’

- 3일 코엑스에서 열린 소셜벤처 경연대회에서 우수팀으로 선정된 팀의 아이디어들입니다. 소셜벤처 경연대회는 창의적이고 사회를 바꾸기 위한 미래의 사회적 기업가를 지원하기 위한 행사인데요. 그런 만큼 경연대회에 참가한 팀의 아이디어는 톡톡 튀면서도, 취약계층·환경·건강 등을 위한 따뜻한 아이디어로 가득찼습니다.

- 청년실업 문제는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일부 구직자들만 대기업·공공기관·정부기관에 취업하는 현실인데요. 열악한 현실에서도 사회를 바꾸기 위해 창의성을 무기로 도전하는 젊은이들이 있다는 것은 그나마 위안이 됩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