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위원장 김문호)가 다음달 3일 파업을 앞두고 준비작업을 본격화한다. 파업의 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노조는 18일 지부대표자회의와 중앙위원회를 잇따라 연다. 노조는 26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예고한 상태다. 25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27일에는 서울 여의도 문화마당에서 금융노동자 총파업 진군대회를 개최한다. 노조가 참여하고 있는 양대 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대책위원회의 9월3일 파업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조의 쟁의조정 신청에 따라 실시한 쟁의조정은 실패했다. 노조가 합법파업의 정당성을 얻은 셈이다. 문제는 밀도, 즉 파업 참여도다.

노조는 최근 지부별로 투쟁상황실을 설치했다. 25일 이전에 지부별로 분회총회와 임시대의원대회를 열라는 투쟁지침을 내린 상태다.

노조는 폭발 직전의 현안이 워낙 많아 파업동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부 노사합의 사업장이 있기는 하지만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 대책에 따른 복지 축소 폭이 큰 탓에 상당수 공공기관이 내홍을 겪고 있다. 최근 공공기관으로 재지정된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반발이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 관계자는 “복지 축소가 공공기관에 한정돼 있는 사안처럼 보이지만 관례로 볼 때 민간 금융기관도 자유롭지 못하다”며 “위기감이 크다”고 말했다.

이 밖에 낙하산 경영진 퇴진을 요구하며 농성 중인 KB국민은행지부,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대책에 따라 조직이 떼어져 나갈 위기에 처해 있는 자산관리공사·금융결제원·은행연합회 관련 이슈도 시한폭탄이다. 하나금융지주의 조기통합에 반대하는 외환은행지부와 매각 관련 쟁점이 잠복해 있는 우리은행·우리FIS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 2004년 6월 씨티은행에 인수된 한미은행의 상장폐지에 반대하는 파업을 벌인 지 꼭 10년 만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