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노동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얻기 위해 동 트기 전 찾는 곳을 흔히 ‘인력시장’이라고 불러 왔는데요. 앞으로 인력시장이 아닌 일자리마당으로 불려질 예정입니다.

- 서울시는 “인력시장은 인력을 사고파는 시장이란 뜻인데 일자리를 찾는 사람이 모이는 또 다른 곳인 ‘일자리 박람회’와 같이 불리는 것에 비춰볼 때 부자연스럽다”며 “관행적으로 사용하지만 이해하기 어렵고 시대에 뒤떨어진 용어 19개를 순화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여기엔 비하적하거나 불쾌감을 주며 어렵고 권위적인 용어도 포함된다고 합니다.

- 서울시에 따르면 비하적 용어인 인력시장을 일자리 마당, 노점상을 거리가게로 바꿨고요. 어려운 한자어인 우수관로를 빗물관, 전언통신문을 알림글로 순화했습니다.

- 지하철과 버스의 노약자석은 어르신·장애인·임산부·영유아 동반자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겪는 분들을 배려한다는 뜻에서 ‘배려석’으로 바꿨습니다.

- 이 밖에 보직은 담당업무 또는 맡은 일로 변경했고요. 시대에 맞지 않는 용어인 하사·계도·치하는 폐기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비슷한 말을 써야 할 때는 계도는 일깨움, 치하는 칭찬 등으로 바꿔 쓰도록 할 예정입니다.

- 요새 행정용어가 외국어와 구별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좋은 우리말을 적극 찾아 쓰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한국일보 기자들 "편집국 폐쇄 풀어라" 가처분 신청 제기

- 한국일보 기자들이 회사를 상대로 “편집국 폐쇄를 중단하라”며 가처분 신청을 냈습니다.

- 18일 언론노조 한국일보지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원장 정상원)에 따르면 비대위는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법에 이 같은 내용의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는데요.

- 비대위는 이를 통해 "쟁의행위를 시작하지도 않았는데 사측이 먼저 편집국을 폐쇄하는 등 불법적인 직장폐쇄를 단행했다"며 "집배신 시스템 접속 차단으로 기자들의 근로의 권리와 인격권도 침해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 한국일보는 지난 15일 외부 용역직원들을 동원해 편집국을 폐쇄하고 기자들의 계정을 삭제해 기사 작성과 송고를 위한 집배신 시스템 접속을 막은 바 있습니다.

- 비대위는 지난달 1일 장재구 한국일보 회장 등 경영진이 이영성 당시 편집국장을 보직해임 한 것에 반발하고 있는데요. 이 국장은 장재구 한국일보 회장의 부당경영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했던 인물이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 현재 편집국 폐쇄로 인해 사측에 동조하는 일부 기자들 위주로 신문이 제작되고 있는데요. 지면 대부분이 통신사 기사로 채워지고, 발행면도 확 줄었다고 하네요.

박근혜식 창조경제? 과거 정책 표절 참조경제!


-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가 과거 정책을 모방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 18일 최재천 민주당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박근혜 정부의 중추적 기조인 창조경제는 과거 국민의 정부 때 추진한 창조적 지식기반국가 건설을 위한 정보화 비전, 사이버 코리아 21과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했는데요.

- 창조적 지식국가의 구축은 98년 당시 국민의 정부가 정부수립 50주년을 맞아 제시한 국가 장기발전 비전인데요. 창조적 지식국가 건설을 위한 연구서 4권을 발간하고 이를 토대로 사이버 코리아 21이 추진됐다고 하네요.

- 최 의원은 “박근혜 정부가 내세우는 창조경제의 중심에는 과학기술과 ICT기술의 역량강화가 있다”며 “국민의 정부 역시 지식경영체제 구축을 통한 기존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역점을 두고 생산성을 제고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했다”고 밝혔는데요.

- 이 외에도 △창업 및 중소·벤처기업 활성화 △지식정보 보호 △SW·인터넷 산업 △인재양성 분야 등에서 유사한 정책을 지적했습니다.

- 최 의원은 “박근혜 정부가 실현하고자 하는 창조경제는 과거 사례를 모방한 아류작에 불과하다”며 “이쯤이면 박근혜식 창조경제는 과거 정부의 정책을 표정한 참조경제로 불리는 것이 맞을 듯하다”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