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사비는 날로 증가한다. 하지만 무기로는 결코 평화를 살 수 없다.”

- 세계군축행동의 날을 맞아 15일 오전 천주교인권위원회·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등 20여개 평화단체들과 국회의원 15명이 국회 앞에서 ‘남북 모두 총을 내리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자회견과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이날 오후에는 서울 여의도 인근에서 평화를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벌인다네요.

- 세계군축행동의 날은 전 세계 곳곳에서 증가하는 군사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군사비 대신 실질적인 문제해결에 필요한 곳에 쓰이게 하자는 취지로 시작된 전 세계적인 평화캠페인인데요. 한국에서도 지난 2011년부터 평화행동을 전개했다고 하네요.

- 이들은 특히 올해 정전 60주년을 맞아 국회와 함께 △동북아 비핵지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 △살상무기 개발과 구입에 따른 인도적 책임 문제 △군사비 축소를 통한 복지예산 확보 및 평화 수립을 공론화할 계획입니다.

- 참여연대 관계자는 “지금 한반도는 전쟁의 기운이 감도는 일촉즉발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며 “남북갈등의 평화적 해결을 통해 소모적인 군비경쟁을 그칠 것을 요구하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64세까지는 일하고 싶다”

- 우리나라 성인들은 정년퇴직과 상관없이 64세까지 일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한국고용정보원이 전국 19∼74세 성인 2천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인데요.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희망노동연령은 63.9세였습니다.

- 세대별로는 젊은 세대가 60대 초반을 은퇴 시점으로 생각하는 반면, 50대 후반 이상 세대는 65세 이후에도 일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평균 희망노동연령은 19∼29세는 60.8세, 30∼38세 61.5세, 39∼47세는 62.2세, 48∼57세는 63.9세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습니다. 장년층에서 58∼64세는 66.7세, 65∼74세는 68.4세까지 올라갔는데요.

- 하지만 전·이직, 재취업, 은퇴 등 향후 진로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사람은 14%에 불과했습니다. 시간부족(30%)과 비용부족(23.3%), 정보부족(17.8%) 등이 진로계획의 장애물로 꼽혔습니다.

- 일과 직업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는 62.4%가 생계유지의 수단이라고 답했는데요. 자아실현의 수단, 사회 참여수단이라는 답은 각각 27%, 10.6%에 그쳤습니다.

직원들 인권 무시한 인권위

- 국가인권위원회가 정작 내부 직원들의 인권을 무시하고 소홀하게 다루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 14일 강동원 진보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인권위 직원 중 18명이 자체 징계를 받았다고 하는데요. 직원 폭행이나 성희롱 사건도 있었다고 합니다.

- 압권은 계약직 직원들에 대한 무더기 징계입니다. 인권위는 계약기간과 관련한 기고를 하거나 릴레이 1인 시위, 단체 피켓전시를 하거나 품위유지의무 위반을 했다는 이유로 11명의 계약직에게 정직 1개월부터 3개월까지 징계를 내렸습니다.

- 강동원 의원은 “내부 직원들의 인권에는 소홀한 인권위가 공공부문이나 민간기업 등 국가 전체의 인권보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는데요. 품위유지를 제대로 했는지, 각성해야 할 곳은 인권위 아닐까요.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