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항 중 발전가능성이 가장 높은 청주공항 민영화는 시작부터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두 차례 유찰 끝에 수의계약으로 진행됐다. 그런 가운데 13일 민영화 막바지 단계인 공항운영증명심사조차 요식행위로 진행됐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이날 한국공항공사노조와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의원들에 따르면 청주공항을 매입한 청주공항관리(주)는 경영노하우·자금력·기술·전문성을 검증받지 않았다. 정부는 내년 1월1일 완료를 목표로 민영화를 추진했다가 청주공항관리의 요청으로 이를 한 달 연기했다.

이와 관련해 청주공항관리의 인수자금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청주공항관리는 내년 1월까지 300억원을 매각대금으로 내야 한다. 현재 지불한 금액은 21.3%인 32억원이다. 올해 진행된 국정감사에서는 몇십 만원에 불과하는 전기료와 임대료도 내지 못한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에 따르면 청주공항관리 참여기업 중 한국에이비에이션컨설팅그룹㈜이 22억4천만원, 외국계 자본인 ADC&HAS가 9억6천만원을 냈다. 흥국생명보험㈜은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흥국생명측은 <매일노동뉴스>와 통화에서 "(공항 투자에 대해) 결정된 것이 없어 드릴 말씀이 없다"고 밝혔다.

민영화가 현실화할 경우 공항운영도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흥국생명과 에이비에이션컨설팅그룹은 공항운영·관리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미국자본인 ADC&HAS가 공항운영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ADC&HAS는 개발도상국에서 공항 개발·민영화를 추진했던 소규모 업체다. 이 업체가 청주공항을 운영할 경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공항의 공공성이 훼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올해 국감에서 이 같은 문제를 제기한 박수현 민주통합당 의원은 "한미 FTA 때문에 미국의 투자나 서비스 공급자에게 차별적 대우를 할 수 없어 국민에게 저렴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 것"이라며 "국토부가 공항운영증명을 투명하고 철저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매일노동뉴스>는 청주공항관리의 자금·경영 계획을 질의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청주공항관리 관계자는 "담당자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