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재벌그룹 총수들이 이사로 등재하지 않고 경영권만 행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책임은 지지 않고 권한만 누리는 비겁한 총수"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27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46개 대기업집단(계열사 1천582곳)의 지배구조 현황자료를 보면 전체 등기이사 5천844명 중 총수일가는 535명(9.2%)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총수의 이사등재 비중은 2.7%(157명)에 불과했다. 지난해(2.9%)보다 되레 감소했다. 친족의 이사등재 비중은 6.5%(378명)로 0.9%포인트 증가했다. 총수의 2~3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2.5%로 지난해와 같았다.

상장사 그룹별로는 부영(30.9%)·세아(29.8%)·대성(28.1%) 순으로 총수일가의 이사등재 비율이 높았다. 반면 삼성(0.3%)·미래에셋(1.3%)·LG(1.5%) 등은 2%도 되지 않았다. 특히 삼성·현대중공업·두산·LS·신세계·대림·미래에셋·태광 등 8개 그룹의 총수는 계열사 이사로 등재되지도 않았다.

정부는 "총수의 이사등재는 법으로 강제할 부분이 아니다"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공정거래위는 "전체적으로 총수의 이사등재 비율이 낮아 법적 책임을 묻기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대기업집단 상장사(238곳)의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48.5%로 지난해(47.5%)보다 높아졌다.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도 90.6%로 지난해(87.8%)보다 상승했다.

그러나 존재감은 없었다. 사외이사의 반대로 원안대로 통과되지 못한 안건은 1%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1년간 상장기업 238곳의 이사회 안건 5천692건 중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원안대로 가결되지 않은 안건은 36건(0.63%)"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