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미 기자

기호 2번 최삼태(53·사진) 후보는 김세환(47) 근로복지공단노조 위원장과 함께 출마했다. 최 후보는 한전KPS노조 위원장과 정부투자기관노조연맹 상임부위원장·한국노총 교육본부장·홍보선전본부장(대변인)·공공대책TF팀장을 지냈다. 김세환 수석부위원장 후보는 근로복지공단노조 위원장에 재선했고, 한국노총 개혁연대(한국노총위원장 직선제 및 한국노총 개혁을 위한 단위노조대표자연대) 의장을 지냈다. 지난 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근로복지공단노조 사무실에서 만난 최 후보는 “이번 선거는 갈라진 조직을 통합할 것이냐, 분열로 빠질 것이냐를 결정하는 의미를 가진 선거”라며 “(선택하기) 애매할 땐 가운데를 꾹 눌러 달라”고 말했다.


- 위원장에 출마한 이유는 무엇인가.

"꽤 오랫동안 공공부문에서 노조활동을 해 왔다. 공공부문 노조들이 자꾸 분열되고 갈라지는 것이 안타까웠다. 2001년 한국노총 조직국장을 맡을 때 3개 조직으로 분산돼 있던 공공부문 조직을 통합하자는 의견을 냈고, 통합의 밑그림을 그렸다. 이어 2004년 공공연맹으로 통합했다. 하지만 최근 연맹이 분열됐다. 누구의 잘잘못을 떠나 이런 상황을 계속 방치하고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출마를 결심했다. 연맹의 분열이 한국노총 산하 공공부문의 분열로 이어졌다. 정부가 반노동자적 정책과 법·제도를 만들어 가장 먼저 적용시키는 곳이 공공부문이다. 공공부문은 잘못된 정부의 정책에 맞서 싸워야 할 책임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합하고 단결해야 한다."


- 다른 후보들과 비교해 어떤 장점이 있다고 생각하나.

"단위사업장 노조에서 나온 뒤로는 항상 공공부문 대책반이나 공투본·범국민대책위 간사 내지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조직을 통합하는 역할을 계속했다. 이번 선거의 주요 이슈가 공기업연맹과의 통합이다. 현재 잘 안 되고 있는 공공부문 노조들의 연대사업과 통합사업을 하는 데 다른 후보들보다 적임자라고 생각한다. 한국노총 중앙에서 활동하면서 갖게 된 네크워크와 인프라·언론과의 관계를 다른 후보들보다 더 잘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 최 후보만의 차별화된 공약이 있다면.

"토론과 비판이 자유롭고 활동이 투명한 민주적 연맹을 건설할 것이다. 비민주적인 사업방식과 상대 조직을 서로 인정하지 않는 배타적·권위적 풍토를 바로잡아야 한다. 연맹이 적극 나서 작은 조직이 교섭할 수 있는 틀을 만들고 안 되면 대각선·공동교섭 등을 통해 연맹이 교섭의 중심에 서도록 할 것이다. 사용자측 교섭단이 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공동교섭을 하고 중앙노동위원회 쟁의조정까지 간 경험을 갖고 있다. 정부의 반노동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공공정책연구소 설립도 제안했다. 노조를 탄압하는 정부기구들을 폐기하는 투쟁을 벌일 것이다."


- 대정부 교섭력을 높여야 할 것 같다. 어떤 방안을 갖고 있나.

"정부를 교섭테이블로 나오게 하려면 연맹 차원뿐 아니라 양대 노총 공공부문·시민사회와 연대해야 한다. 정부가 공공부문의 필수적인 서비스까지 비용으로 생각하고 정치적 개혁 명분으로 삼는 부분에 대해 국민들에게 제대로 알리고 지지를 받아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가 힘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연맹이나 한국노총 산하조직만이라도 하나의 공동전선을 형성해야 한다."


- 내년에 총선과 대선이 실시된다. 한국노총 정치방침은 어떠해야 하나.

"가장 좋은 방법은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다. 하지만 예전에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지금 최선은 노동자들을 대변하는 정당과 연대하는 것이다. 한국노총 조합원들의 스펙트럼은 보수부터 다소 진보적인 쪽까지 폭이 넓다. 의견을 통일해서 하나의 방침을 세워 나가기 힘든 구조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한국노총이 조합원뿐만 아니라 노조가 대변할 수 있는 빈민·농민·영세상인 등 민중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활동을 일상적으로 해야 한다. 그런 사업 없이 정치의 계절에 편승하거나 연합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장기적으로 좋은 방법은 아니다."


- 김세환 수석부위원장 후보와 러닝메이트를 한 이유는.

"김세환 후보는 개혁적인 인물이다. 한국노총의 임원선거를 선거인단제도로 확대하게 만든 주인공이다. 직선제가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선거인단이 확대됐고, 올해와 같은 선거를 치를 수 있었다. 현장의 요구들을 폭넓게 담아내면서도 개혁적이라는 것이 김 후보의 강점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