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1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 격차가 2007년 비정규직법 시행 이후 오히려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보호’를 위해 만든 법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9일 노동부의 ‘고용형태별 사회보험 가입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전체 노동자의 4대 사회보험 가입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가입률 현황을 보면 고용보험은 86%, 건강보험은 87.5%, 국민연금은 87.5%, 산재보험은 96.8%를 기록했다. 2006년에 견줘 각각 △2.5%포인트 △3.2%포인트 △3.2%포인트 △3.5%포인트 증가했다.

정규직은 95% 이상이 사회보험에 가입한 반면 비정규직은 산재보험을 제외하고 절반만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눈여겨볼 대목은 2007년 이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 격차다. 고용보험의 정규직-비정규직 가입률 차이를 보면 2007년 40.9%포인트, 2008년 42.7%포인트, 2009년 43.7%포인트, 지난해 43.6%포인트로 점점 벌어지고 있다. 건강보험 격차도 2007년 45.1%포인트에서 지난해 47.3%포인트 차로 확대됐고, 같은 기간 국민연금 가입률 차이도 2.8%포인트 증가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사회보험 수혜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이유는 정규직 가입률은 95%를 상회하며 점진적으로 높아진 데 반해 비정규직 가입률은 오히려 후퇴했기 때문이다. 고용보험의 경우 정규직 가입률은 2007년 93%에서 지난해 95.7%로 2.7%포인트 증가했지만 비정규직 가입률은 52.1%로 변화가 없었다. 같은 기간 국민연금은 정규직 가입률이 94.2%에서 96.6%로 2.4%포인트 증가했는데, 비정규직은 오히려 47.3%에서 46.9%로 2.6%포인트 감소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사회보험 가입률 격차는 특히 30대 미만과 50~60대에서 두드러졌다. 고용보험의 경우 30대 미만 격차가 2007년 40.1%포인트에서 지난해 29.7%포인트로, 60세 이상은 12.8%포인트에서 20.9%포인트로 수직상승했다. 취업취약계층인 청년층과 고령층이 보호받기는커녕 사회안전망에서도 소외되고 있는 셈이다.

한편 노동부의 이번 조사는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장 3만7천곳을 표본조사한 것으로, 가구표본조사를 하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와는 차이가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