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가 국가적 해결과제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육아휴직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공무원 육아휴직 사용인원도 지난 2005년 607명에서 2007년 1천192명, 2009년 2천183명으로 증가했다. 공무원 노동계 역시 정부 정책의 성과를 일부 인정할 정도다.

이런 가운데 전국공무원노조는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육아휴직을 확대하기 위해선 정규직 공무원 채용부터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정부 시책으로 육아휴직 사용자가 늘어나는 긍정적인 점도 있지만 현장에서 여전히 문제가 많다는 의견이었다. 서울지역 한 구청에서는 육아휴직 대체업무를 하던 또 다른 공무원이 과중한 업무로 인해 병가를 냈다는 사례도 덧붙였다.

정부가 한시계약직 공무원을 채용해 업무를 대체할 인력을 양성하고는 있다지만 공무원노조는 "현실을 잘 모르는 이야기"라고 지적했다. 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이 없는 한시직 대체인력은 보조 역할에 머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정부가 강조하는 또 다른 화두 중 하나는 고용이다. 저출산 해결이 미래를 대비하는 일이라면 고용은 당장 먹고사는 문제와 직결되는 현실적 사안이다. 이런 면에서 공무원 정규직 채용 확대는 육아휴직에 따른 업무대체가 가능하고 양질의 일자리도 늘릴 수 있는 일거양득 전략이다. 공무원노조가 정규직 채용 확대를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공무원 채용은 해마다 줄고 있다. 정부가 밝힌 올해 국가공무원 신규 공채인원(계획)은 1만4천324명으로 5년 전 2만9천97명에 비해 50.8%나 줄었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가 올해 3월 밝힌 '총액인건비제 세부 운영지침'에 적시한 대로 "알뜰한 정부 운영을 목표로 공무원 감축관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 채용 확대는 예산 확대를 동반한다. 그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된다. 때문에 공무원 채용 확대는 쉽지만은 않은 과제다. 국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공무원의 과다 축소는 행정서비스의 질을 낮춰 국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정부가 장려하는 육아휴직 사용에 따른 업무 공백 혹은 다른 공무원의 업무 과다는 이러한 문제점을 노출할 개연성이 크다. 공무원노조가 주장하는 '육아휴직을 대체할 정도의 정규직 공무원 채용 확대'는 그 규모도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또 심각한 청년실업을 해소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려해 볼 만한 정책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