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인근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비상이 걸렸다. 해당 지자체 공무원들은 비상근무를 서며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날씨가 추운 데다 인력도 부족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경북 안동시·예천군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안동시와 예천군은 전 공무원을 구제역 통제초소와 주요 도로경계 지역에 집중배치해 소독을 강화하고 차량을 통제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의 공무원들은 3교대 비상근무에 들어간 상태다. 이날 방역작업을 벌이던 안동시청의 한 공무원은 “인력이 많이 부족하고 날씨가 추워 힘들다”며 “하지만 지금 어렵다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지난 5일 구제역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예천군에서는 안동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자 축산 관련 부서가 비상근무에 들어간 데 이어 이달 초부터 전 직원이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안동에 이어 예천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인근지역에서는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차단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전북도는 이날 경상도에서 진입하는 고속도로 나들목과 도 경계 주요 도로 20곳에 설치했던 이동통제초소를 25개로 확대했다. 강원도는 태백과 삼척·영월에 이어 원주·홍천·횡성 등에 이동통제초소를 설치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축산 농가가 많은 지자체인 정읍시의 정읍시공무원노조(위원장 오종상)는 최근 구제역의 관내 유입을 막기 위해 전라북도와 시에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노조의 제안은 구제역방역통제초소를 설치·운영할 때 용역인력을 투입해 달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초소근무자 방한복 지급 △초소 내 화장실·세면실·온급수기 설치 △야간근무자의 충분한 휴식조치 등을 요구했다.

오종상 위원장은 “구제역이나 조류독감(AI)이 발생할 때마다 전체 공무원을 투입하면 대시민 행정서비스가 마비된다”며 “특별한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 아니고, 공무원 인건비가 더 비싸기 때문에 지자체 일자리 창출 예산을 이용해 일반 용역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