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사무총국에는 ‘작지만 강한’ 본부가 있다. 남성 위주의 노동문화 속에서 소외받고 차별받는 여성노동자의 권리 향상과 역량 강화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여성본부가 그 주인공이다. 김순희(52·사진) 한국노총 여성본부장이 이러한 평가를 받게 한 장본인이다. 김 본부장은 지난 84년 화학노련 교육부장을 시작으로 88년 한국노총 여성부장으로 자리를 옮긴 뒤 교육국장·중앙연구원 연구원·산업보상국장·정책국장 등을 거쳐 지난해 3월부터 여성본부장을 맡고 있다. 지난 26년을 한국노총과 함께 한 ‘한국노총맨’이다.

“산별·지역본부 여성사업 강화”
“한국노총에는 2000년대 초까지 여성본부가 있었으나 그만 폐지되고 말았죠. 2008년 들어서야 여성본부가 다시 설치될 수 있었지요.”
여성본부의 짧지 않은 공백은 한국노총이 여성활동과 다소 멀어지게 한 계기가 됐다는 게 김 본부장의 분석이다. 그런 만큼 여성본부의 재등장은 여성활동의 복원을 의미했다.
“한국노총 여성본부의 재등장을 환영하는 이들이 꽤 많았어요. 여성노동단체들은 물론 정부도 마찬가지였지요. 연대가 활성화되고 정부와의 채널도 고정됐죠.”
여성본부 복원 뒤 성과도 꽤 나타났다. 무엇보다 회원조합(산별조직)과 지역본부에서 여성활동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사업의 비중이 점차 늘어났다.
김 본부장은 “여성본부는 지난 2년간 각 산별조직·지역본부와 간담회를 갖고 여성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며 “이것이 많은 조직에서 여성사업에 적극 결합하게 만들어 내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그 결과 16개 지역본부 중 3곳에서 상설 여성위원회가 만들어졌다.

여성노동 제도개선 대응 성과 나타나
한국노총은 그동안 여성노동 제도개선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다. 지난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예산심사소위에서 신설된 명예고용평등감독관 활성화사업 예산(3억1천900만원)이 대표적 사례다. 2001년 제도가 도입된 지 10년 만에 관련예산이 도입된 배경엔 여성본부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여성본부는 6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전문가 양성교육, 10월 실태조사를 실시하며 이 제도의 활성화를 촉구했고 올 정기국회에선 관련예산의 신설을 제기했다.
또 대통령소속 지방분권촉진위원회의 고용노동부 기능 중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위촉·운영의 지방이양 등에 대해서도 여성노동단체들과 함께 발 빠르게 대처했다.
“한국노총과 여성노동단체들이 대응하지 않았다면 지방이양이라는 흐름은 멈추지 않았을 겁니다. 지금은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예산 신설을 앞둔 상황이지요.”

여성노동자 정치세력화 꿈꾼다
김 본부장의 열정은 지금도 뜨겁다. 2년간 해온 사업을 보면 이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가 생각하는 한국노총 여성본부의 궁극적 과제는 무엇일까.
“한국노총 내에서 적어도 여성이 주변화되지 않고 주류의 관점에서 여성사업이 녹아들기를 바랍니다. 산별조직과 지역본부에서 여성위원회의 활성화로 조직 내 여성활동 강화와 여성노동자 정치세력화를 꿈꿉니다. 여성본부가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지요.”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