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에 매진해야 할 정부가 오히려 고용불안정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월 한 달간 공공행정 분야 이직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94.2%나 늘었다.
28일 고용노동부가 1인 이상 사업체 2만8천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사업체고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공공행정 분야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94.2% 늘어난 5만218명이 이직했다. 표준산업분류에서 공공행정의 정식 명칭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으로 대부분 정부부처와 연관돼 있다. 정부가 경기회복세에 따라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고용시장에 고춧가루를 뿌리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18개 산업 가운데 5개 산업만 이직률이 높아졌는데, 거기에 정부가 포함됐다. 그것도 이직률이 가장 높았다. 이직자가 늘어난 산업은 도소매업(10.7%)·출판영상통신업(8.5%)·금융업(5.4%)·전문서비스업(3.1%)·공공행정(194.2%)이었다.

5만명을 넘는 이직자수를 기준으로 할 때 공공행정은 전 산업에서 3위를 기록했다.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8만1천308명의 이직자가 나왔고, 다음으로 도소매업에서 6만2천826명이 직장을 떠났다. 고용이 상시적으로 불안정한 건설업에서는 4만4천855명이 이직해 공공행정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특히 공공행정에서는 비정규직의 이직이 두드러졌다. 1년 이상 계약을 체결한 상용직 이직자는 8천70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늘었지만, 임시·일용직은 4만1천511명이 직장을 떠났다. 1년 전보다 무려 338.4%가 늘어났다.

제조업 이직자의 경우 상용직은 6만3천474명으로 4.4% 늘었지만, 임시·일용직은 1만7천834명으로 21.5% 줄었다. 도소매업은 상용직이 3만6천902명(17%), 임시·일용직은 2만5천923명(2.8%)이 이직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기저효과로 지난해에는 이직이 그만큼 적었다는 뜻”이라면서도 "희망근로가 3개월 단위 계약이어서 3개월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