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이 증가하고 정규직과의 임금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고용이 회복되고 있음에도 임금을 적게 받고 고용이 불안한 일자리는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지난 4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은 549만8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만4천명(2.3%) 증가했다. 비정규직 중에서도 주당 근무시간이 36시간이 안 되는 시간제가 15.8%(20만8천명) 늘어났고,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가 48.1%(19만4천명) 증가했다. 파견은 8만1천명이 늘어나 61.5%의 증가율을 보였다.

비정규직 증가를 산업별로 보면 지난해 3월과 비교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22만8천명이 증가한 반면, 건설업(-7만6천명)·도소매·음식숙박업(-4만9천명)·제조업(-2만5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1만2천명)에서는 감소했다. 희망근로사업 등 정부 재정지출 일자리사업이 비정규직 증가를 견인했음을 보여 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올해 1~3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평균임금은 각각 228만9천원과 125만3천원으로 103만6천원이나 차이가 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임금격차는 93만5천원이었다. 1년 동안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비율은 56.9%에서 45.3%로 하락했다.

이에 대해 노동부는 같은날 '2009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를 발표해 “정규직과 비교한 비정규직의 임금 비율은 인적·사업체 특성에 따른 차이를 배제할 경우 15.7% 수준”이라고 밝혔다. 경활 부가조사는 평균임금 수준을 단순 비교했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하지만 노동부 조사를 보더라도 2008~2009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는 2.8%포인트 증가했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은 “시간제와 공공서비스업 비정규직의 증가는 희망근로사업 등 정부 일자리 사업 때문”이라며 “최소한 3월까지는 정부의 고용대책이 단기일자리 사업에 치우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