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자리 나누기에 참여한 기업 10곳 중 8곳은 임금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고용을 유지 또는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 같은 ‘시간조정형’은 25.4%에 그쳤다.

노동연구원은 30일 ‘경제위기와 고용’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이 노동부 의뢰를 받아 지난해 6월 ‘경제위기 대응 관련 1천개 기업 노사 담당자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100인 이상 노동부 중점 관리대상 사업장 1천곳 중 33.9%인 339개가 일자리 나누기에 동참했다.

조성재 연구위원은 “경제위기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은 사업장이 고용조정을 하지 않은 채 임금이나 근로시간 조정·배치전환을 통해 일자리를 지키거나 창출한 경우 일자리 나누기 사업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며 “일자리 나누기 동참사업장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임금조정형이 88.8%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시간조정형은 25.4%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가 부진한 이유는 노동자들의 임금감소에 대한 반발과 업무특성상 직무분할에 따른 시간단축이 불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제조업은 임금감소에 대한 반발이 근로시간 단축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초과근로시간을 단축한 사업장은 17.9%였는데, 주당 평균 6.77시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2시간 가까이 이뤄지던 잔업이 사라지면서 노동자들이 월 통상임금의 12.51%에 해당하는 손해를 입은 셈이다.

조 연구위원은 “지난해 경제위기 과정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로 ‘임금조정형 일자리 나누기’를 선택했다”며 “98년 외환위기 당시 인력 구조조정이 엄청난 갈등 비용을 동반한 데다, 성공했더라도 직원들의 충성도가 떨어져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충청지역 기업들이 일자리 나누기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금융업과 건설업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운수창고통신업과 보건업은 부정적이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