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과 산재의료원이 통합됨에 따라 기대되는 시너지 효과와 과제는 이른바 산재의료원의 ‘제자리 찾기’다.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의료원 산하 9개 병원의 산재환자 점유율은 7.8% 수준에 불과하다. 산재병원을 찾는 환자 중 산재환자 비중은 2004년 60.9%에서 2009년 51.6%로 떨어졌다. 산재환자 대부분을 민간병원에 뺏기고 있는 것이다. 산재병원을 찾는 환자 중에서도 산재환자는 절반밖에 되지 않는 등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특히 지난해 138억원의 적자를 내는 등 재정구조도 취약하다.

이에 대해 통합 복지공단은 흑자를 내기 위한 경영효율화와 재활치료 차별화를 통한 공공성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좇는다는 계획이다. 9개 병원에 독립채산제 방식의 책임경영체제를 정착시키고, 3년 동안의 경영성과를 보고 예산을 차등 배정한다는 방침이다. 직무수행능력이 부진한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삼진아웃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공단은 "재활치료 환자를 집중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환자를 많이 진료하는 의료진에게 성과급을 확대하는 등 우수의료진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김원배 공단 이사장은 “민간병원의 관심이 소홀한 재활치료에 집중투자하고 성과 위주로 조직 패러다임을 바꾸면 민간과의 경쟁에 밀려 환자가 줄고 수익이 감소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산재병원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두 기관의 통합이 인력과 비용감소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영수 한림대 교수(산업의학과)는 “산재병원들이 알아서 적자를 해결하라는 식의 경영은 곤란하다”며 “경영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산재보험기금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