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오토바이 생산업체인 창원 대림자동차공업에서 정리해고된 노동자들이 지난 1일부터 회사 본관 건물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 농성 열흘이 넘도록 노사교섭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림차는 지난해 10월 직원 665명 중 193명을 희망퇴직시키고 10명을 무급휴직 조치했다. 또 잉여인력으로 구분된 47명에게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회사측은 국내 오토바이 판매 부진에 따라 경영상 해고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그런데 최근 대림차 창원공장의 운영상황은 회사측의 주장을 무색케 한다. 노동조합에 따르면 창원공장에서는 일주일에 네 번 잔업이 이뤄지고 있다. 휴일·특근도 한 달에 세 번 진행되고 있다. 한마디로 공장이 ‘쌩쌩’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대림차가 최근 발표한 올해 경영계획 내역을 봐도, 회사측이 주장하는 ‘경영난’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납득하기 어렵다. 회사측은 올해 생산계획을 지난해보다 20% 늘려 잡았다. 현대자동차에 납품하는 부품을 생산하는 부품사업부에 21억원을 투자하고 20여명을 신규채용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올해 47억원, 내년 77억원, 후년 113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발표했다. 이를 망해 가는 회사의 품새라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최근 10여년 사이 국내 오토바이 산업이 사양화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다. 중국산 저가 오토바이 유입과 오토바이 주요 구매층인 자영업자의 몰락은 국내 오토바이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외환위기 전 30만대를 넘어섰던 국내 오토바이 수요는 10년 사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대림차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한 타개책을 인력감축에서 찾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산 저가제품을 수입해 자사 상표를 붙여 판매하는 OEM 제품 판매비율을 높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규직 생산인력을 비정규직으로 대체해 인건비를 감축해 보겠다는 발상인 것이다. 비정규직 확산에 적극적으로 반대해 온 노조 전·현직 간부들이 정리해고 대상에 대거 포함된 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이런 식이라면 국내 오토바이 산업의 미래는 암울하다. 잔업과 특근으로 분주하게 돌아가는 회사의 정리해고 방침은 최소한의 설득력도 가지지 못한다. 대림차는 이제라도 정리해고 계획을 철회하고, 생계형 교통수단인 오토바이의 부활을 위해 노동자들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