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장-부작용 우려되는 대북선. 포교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교류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한편으론 종교계 대북선교-포교 과열이 빚어낼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수년 동안 북한돕기운동을 펼쳐온 한 종교지도자는 최근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남북 교류가 시작돼도 종교인들은 절대로 선교나 포교 이름으로 떠들지 말아야 한다"며 "다만, 지그시 동포를 도와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온겨레평화대행진을 추진하고 있는 한 종교인은 "남북교류가 본격화되고 대북선교가 자유화 되면 북한은 아마 종교계의 땅따먹기 대상이 될 것"이라며 "이런 부작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자제시키는 일이 각 종단 지도자들에 주어진 중차대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개신교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북한교회재건위원회 등 공격적 선교기구와 지역 대 지역, 교회 대 교회 자매결연 등 전략과 목표를 세워놓고, 북한선교를 위한 자금까지 상당액 축적해 놓고 있다.

불교계는 북한돕기운동과 통일운동을 전담키 위해 최근 조계사에서 민족공동체운동본부를 결성, △남북한 불교교류와 문화재 조사 연구 △북한지원 활동 △명찰(名刹) 재건 등의 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물론 내심에는 정상회담 이후 본격화될 남북교류 분위기를 놓치지 않고 북한지역 불교 포교에 나서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교황 방북 초청 의사를 확인한 가톨릭은 이를 사제 파견과 교회인정의 호기로 보고, 이에 앞서 평양교구장서리를 겸임하고 있는 정진석 서울대교구장의 방북을 추진하고 있다.

종단차원보다 개 교회별로 선교사를 파견하는 개신교 대형교회들의 움직임은 벌써부터 요란하다. 개신교 연합기구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나 한국기독교교회연합회(KNCC)도 속수무책이다. 회원교단들에 대한 통제력이 없기 때문이다.

남북문제는 단순히 경제-군사적 대립 뿐은 아니다. 사상-종교적 대립과 갈등의 골은 이보다 더 깊으면 깊었지 결코 간단치 않다. 종교계는 공격적 대북 선-포교에 앞서 지난 수천년 동안 과연 기존 종교가 개인이나 사회, 국가, 민족, 나아가 인류의 삶과 미래를 책임져줄 확실한 대안이었던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