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한 도덕성이 요구되는 공무원 사회에 왜 여직원 성희롱 사건이 꼬리를 물까.

지난해 일련의 고위공직자 성희롱. 성추행으로 여론의 손가락질을 받은공직사회는 최근 국무총리실 고위간부의 성희롱을 또 막아내지 못했다.

여성부가 남성들의 거부감을 무릅쓰고 첫 국무회의 보고로 '공공기관 성희롱방지대책'을 채택한 것은 상황에 대한 위기감때문이다.

현정택 여성부 차관은 20일 "남녀차별 문제의 심각성과 중요성을 공직사회가아직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민간기업에는 성희롱 사건이 타격이다. 성희롱으로 집단 제소라도 당하면 기업이미지에 먹칠, 영업손실이 오는 것은 기본이고 엄청난 손해배상금을 물 수도 있다. 롯데호텔의 경우만 해도 지난해 여성 노조원 270명이 임직원 12명으로부터 상습성희롱을 당했다며 17억6천만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었다. 외국에서는 회사에 손실을 입혔다는 이유로 가해자가 일자리를 잃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우리 공직사회에는 사건 후 비난 여론만 비등했지 금전적 피해까지 보는 경우는 아직까지 없었다. 한 공무원은 "성희롱 사건이 이슈화되면 잠시 행동거지에신경은 쓰지만 곧 풀어진다"고 말했다. 각급 행정기관에 5-7급의 중위직 여성 공무원층이 두텁지 않은 것도 이유로 지적된다. 남성 공무원이 여성을 동료로 인식할만한 여건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부 기관에서 대부분의 여성은 7급 이하의 하위직에 분포돼 있다.

중앙 부처만해도 사무원이나 비서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들이 까마득한 상관을 성희롱으로 고발하기는 어렵다.

이번 총리실 사건만 해도 인터넷 사이트에 글을 올린 제보자는 익명이었다. 이들에게 친목 모임은 있으나 남녀차별 사건에 공동 대응할만큼 결속력이 있지는 못하다. 그런 점에서 롯데호텔, 한국산업연구원, 이천일 아울렛 등의 여직원 성희롱. 성추행 사건이 집단으로 제기되거나 노조가 개입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크다.

정부 부처의 한 여성정책 담당관은 "여성정책 담당관이 다른 부처들에까지확대설치되면 성희롱을 비롯한 남녀차별 사안을 접수받는 창구 역할을 할 수있다"며 "여성 공무원들이 권익 보장을 위해 서로 연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