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한국노총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복수노조 허용과 전임자임금 지급금지 시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했다.

사흘 동안 진행된 협상을 놓고 언론사들의 보도내용은 저마다 달랐다. 내년부터 전임자임금이 금지되는 사업장 규모·유예기간·복수노조 시행시기 등이 제각각이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요즘 신문이나 방송 보면 전문가들이 참 많다”며 수많은 오보를 비꼬기도 했다. 다른 관계자는 “아예 신문을 보지 말아야겠다”는 말도 했다.

노사정 대표자회의가 진행됐던 지난달 언론보도에 자주 나온 ‘고위 관계자’로 오해를 많이 받았다는 노동부 관계자는 “어떤 기자들은 앞뒤 다 자르고 일부 멘트만 가지고 소설을 쓴다”며 “전화받기조차 두렵다”고 말했다. 실제 이 관계자는 그 뒤 통화연결이 어려웠다.

사회적으로 민감한 쟁점을 놓고 이해당사자들이 협상을 하게 되면 언론사의 오보가 두드러지는 것은 사실이다. 경솔한 보도가 자칫 협상을 이상한 방향으로 가게 할 수도 있다.

이런 문제들이 모두 언론사들만의 탓일까. 최근 진행된 집중협상은 철저하게 비공개로 진행됐다. 시간과 장소, 협상 내용을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없었다. 사흘 동안 각 단체에 속한 대중들과 국민들은 장님이 됐고 귀머거리가 됐다.

당사자들의 이해관계가 민감하고,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공개는 부담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의 사실을 공개하고 해명할 것은 해명해야 하지 않을까. 그렇지 않고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맞게 간간이 흘리는 정보는 오보가 될 확률이 높다.

공개하지 않는 협상은 ‘밀실협상’이라는 오해를 받기 십상이다. 사실 공개하지 않는 협상은 말 그대로 밀실협상이다. 원칙과 의견수렴보다는 정치적 이해만 챙겼다는 의심을 받기도 쉽다.
 
복수노조와 전임자임금 문제는 안 그래도 각 이해관계자들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는 사안이다. 향후 노사관계나 노정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대중들의 높은 관심 앞에 노사정은 최소한의 예의는 지켜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