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을 지낸 김대중<사진> 전 대통령이 18일 오후 1시43분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서거했다. 향년 85세.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은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정국이 다시 한 번 격랑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폐렴으로 신촌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해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았다. 이후 증세가 호전돼 같은달 22일 일반병실로 옮겼으나 하루 뒤 폐색전증이 발병, 인공호흡기를 부착한 채 치료를 받아 왔으나 끝내 회복하지 못했다. 

1924년 전남 신안에서 태어난 김 전 대통령은 목포상고를 졸업한 뒤 63년 6대 국회의원 선거(목포)에 당선되면서 정치인생을 시작했다. 그 뒤 7·8·13·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71년에는 신민당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가 당시 공화당 후보였던 박정희 대통령에 석패했고, 87년과 92년 대선에서는 연이어 낙선했다. 

그럼에도 김 전 대통령은 대선 도전을 멈추지 않았고, 3전4기 끝에 97년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제치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김 전 대통령의 정치행보는 우리나라 현대사와 궤를 같이한다. 72년 유신체제가 등장한 뒤에는 반체제 인사로 분류돼 투옥과 수감 등 고초를 겪었다. 80년에는 광주민주화운동을 사전 지시했다는 내란음모 혐의로 그해 7월 사형선고를 받았다. 

국제사회의 압력 덕분에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그는 82년 형집행정지로 석방돼 미국으로 건너갔고 85년 12대 총선을 앞두고 귀국, 김영삼 전 대통령과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의장으로 민주화 항쟁을 이끌었다.  

김 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조성에도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대통령 재임시절 햇볕정책으로 상징되는 대북포용정책을 추진,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과 공동선언을 이끌어 냈다. 이러한 공로로 그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김 전 대통령은 노동계와는 긴장관계를 유지했다. IMF 경제위기를 떠안고 출범한 김대중 정부는 IMF가 요구한 재정긴축과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수용하며 이 과정에서 노사정위원회로 대표되는 ‘사회적 합의주의’를 추진했다.  

노동계의 정책참여를 수용했다는 점은 과거 정부와 뚜렷이 구분되는 모습이다. 다만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동유연화 정책을 광범위하게 추진해 이후 비정규직 확산과 사회적 양극화의 단초가 됐다는 비판도 제기돼 왔다. 

한편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노동계도 애도의 뜻을 밝혔다. 민주노총은 성명을 통해 “80만 조합원과 함께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공과는 역사가 평가할 것이나, 과거 군사정권에 맞선 반독재민주화 투쟁과 대통령 당선 뒤 평화적 남북관계 진전에 미친 영향은 현세의 정치가들이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며 “부디 정치권 모두가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에 오늘날의 한국 상황을 되돌아보고 과연 무엇이 노동자-서민을 위해 올바른 길인가를 스스로 성찰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노총도 성명을 내고 "평생을 독재정권 종식과 민주주의 정착 및 한반도 통일을 위해 힘써 온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100만 조합원과 함께 깊은 조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이어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는 김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들어 노동자·서민을 위한 노동단체로서의 역할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