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3년 전처럼만 하면 된다’고 하고, 현대자동차는 ‘3년 전처럼 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가 농담반 진담반으로 한 말이다. 복수노조와 전임자임금에 대한 재계의 입장차를 잘 보여준다.

노조 전임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에는 재계 내에 큰 이견이 없다. 반면 사업장단위 복수노조를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기업은 없다. 오히려 ‘무슨 일이 있어도’ 복수노조 시행만큼은 피하고싶어 하는 기업이 있다.

재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그룹은 사업장단위 복수노조 허용과 전임자임금 지급금지를 모두 유예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노조 경영을 해 온 삼성에게 복수노조 시행은 그간의 경영방침과 배치된다. 사실 전임자임금 지급금지는 ‘무노조 기업’ 삼성에게 큰 의미 없다.

하지만 복수노조 시행만 유예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명분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둘 다 유예되는 것을 바라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의 움직임에 대해 현대자동차처럼 기존 노조가 왕성하게 활동하는 기업들은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다. 삼성과는 달리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는 ‘숙원’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반면 복수노조는 시행이 되든 말든 큰 차이가 없다. 현재의 노조 지도부도 사실상 조합원들의 과반수 지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과반수 교섭대표제에 의한 창구단일화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더구나 지금도 각 현장조직을 상대로 일일이 노무관리를 하기 때문에 복수노조가 생기는 것과 노무관리 비용에서 큰 차이가 없다.

삼성과 비슷한 입장이지만 다른 이유로 현행제도 유지를 원하는 기업도 있다. 재계 관계자는 “노사관계가 안정된 LG전자·KT·일부 공기업 등은 ‘지금 이대로 갔으면’ 하는 속내를 드러내고는 한다”고 말했다. 다른 노조가 생겨 골치를 썩을 바에야 전임자 임금을 지급하면서 현재 노조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괜찮기 때문이다.

이처럼 각기 다른 재계의 입장차이에 대해 경총 등 사용자단체가 어떤 선택을 할지도 복수노조·전임자임금 국면에서 흥미로운 관전포인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