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종면 YTN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조합원이 경찰에 긴급체포된 다음날. 한 여성 조합원이 파업출정식이 열린 YTN본사 로비에 앉아 노 위원장의 영상메시지를 보고 있다. 이날 결의대회 사회자가 "서울에서 제주까지 YTN은 하나다!" 구호를 선창했고, 주먹 쥔 조합원들이 더 크게 화답했다. "목숨처럼 여기던 방송 장비를 내려두고 파업에 나선다"며 위원장 석방과 파업 승리를 다짐했다. 눈물이 뜨거웠고 목소리가 크고 또렸했다. 기자가 많았고 연대의 목소리도 우렁찼다.

"내가 파업같은 일을 할 줄은 몰랐다." 지난 KTX 승무원 파업 당시 한 승무원이 했던 말이다. 또 이랜드 파업에 나선 아주머니도 같은 얘기를 했다. 누군들. 돌아보면 주목 한번 받지 못한 채 잊혀진 수많은 파업과 싸움들, 또 눈물들. 저마다의 절실함엔 곧잘 '불법', '폭력' 딱지가 붙었다. 살길 찾아 올랐던 망루에서, 철탑에서 굶고, 떨고, 불에 타 죽은 일이 어디 먼 나라 일이던가.

“나치는 우선 공산당을 숙청했다/ 나는 공산당이 아니었으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유대인을 숙청했다/ 나는 유대인이 아니었으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노동조합원을 숙청했다/ 나는 노조원이 아니었으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가톨릭 교도를 숙청했다/ 나는 개신교도였음으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나에게 왔다/ 그 순간에 이르자/ 나서 줄 사람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20세기 중반 독일 신학자 마르틴 니묄러의 고백이다.
 
 
<매일노동뉴스 3월26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