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가 악화되면서 한때 '철밥통'으로 불렸던 공무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간산업 분야처럼 대규모 구조조정이 우려되지는 않지만,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본급이나 상여금을 반납하는 사례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가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만큼 공무원 수도 갈수록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 감축, 이미 시작됐나=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철도청이 공사로 전환하면서 전체 공무원 정원이 0.6% 줄어들었다. 이후 2005년 93만1천25명에서 2007년 97만5천274명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공무원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444명이 줄었다. 정부가 지난 1년간 중앙-지자체 조직개편을 통해 1만3천500여명의 정원축소를 추진했기 때문에 지난해 연말을 기준으로 한 공식통계가 나오면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2007년 96만3천132명이었던 공무원 현원도 지난해 6월에는 1만9천120명(0.8%)이 감소한 95만5천710명으로 집계됐다.

◇차별받는 기능직, 감소 폭도 커=이런 흐름 속에 경제위기까지 겹치면서 급여와 승진 등에서 일반직보다 열악한 기능직들의 감소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외환위기로 공무원 감축이 본격화됐던 98~2001년 지자체 공무원 분류별 감축인원을 보면 기능직과 고용직 등 하위직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두드러졌다. 일반직 공무원은 15.9% 감소한 데 반해 기능직은 30.2%, 고용직은 무려 60.6% 줄어들었다.

지난해 정부 조직개편 지침에 따라 진행된 지자체별 정원감축 사례를 보더라도 줄어든 공무원들 중 기능직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전국공무원노조 자체조사에 따르면 마포구가 63명 중 32명, 용산구가 95명 중 44명, 성북구는 65명 중 52명, 청주시가 70명 중 59명이 기능직이었다. 심지어 인천 부평구는 기능직(36명)만 줄였다. 공무원 노동계가 장기적으로 기능직공무원의 일반직 전환을 요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파탄’ 부르는 작은 정부=정부와 지자체가 공무원 감축에 나서면서 "국민에게 제공되는 복지혜택이 줄어들고 안정적인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우리나라 인구 1천명당 공무원은 18.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특히 보건·복지 분야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 턱없지 적다. 한국정책학회가 2006년 발표한 ‘공공부문 인력규모 비교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교육과 보건·사회복지·치안 등을 포괄하는 민생 담당 공무원 규모가 OECD 평균의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는 최근 ‘기능직공무원 노동실태 및 제도개선 방안연구’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공공행정서비스의 파탄을 초래할 만큼 ‘작은 정부’ 상태에 머물러 있다”며 “최근 일부 선진국에서 공무원을 대규모로 증원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분석했다.
 
 
<매일노동뉴스 2월16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