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금속노조
지난 2004년 쌍용자동차가 중국 상하이자동차(SAIC)에 매각될 때부터 예견됐던 '기술 유출 뒤 자본철수'가 현실화됐다. 상하이차의 기술유출과 투자외면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쌍용차는 존립마저 위협받고 있다. 납품업체 250여곳의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차는 지난 8~9일 중국 본사에서 이사회를 열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신청을 결정했다. 쌍용차는 9일 서울중앙지법에 회생절차개시 신청과 재산보전처분신청 및 포괄적금지명령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쌍용차는 △희망퇴직 시행 △순환휴직을 통한 평균임금 50% 축소 △향후 2년간 임금삭감 △채용동결·복지지원 잠정중단 등에 대한 협의를 노조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법원이 법정관리 결정을 내리면 쌍용차는 채무가 동결된 채로 기업활동을 계속하게 된다. 법정관리를 기각하면 쌍용차는 파산절차를 밟아야 한다. 법원의 결정이 내려지기까지는 한 달에서 3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4년 내내 기술유출 논란=법정관리가 시작되면 최대주주인 상하이차는 경영권을 행사할 수 없다. 상하이차가 쌍용차를 인수한 지 4년여 만이다. 상하이차는 2004년 10월 쌍용차 채권단과 지분 48.9%를 5천900억원에 인수하기로 본계약을 체결했다. 상하이차는 2006년에 지분을 51.3%까지 늘렸다.

당시 쌍용차는 매각 직후부터 기술유출 논란에 휩싸였다. 노조(현 금속노조 쌍용차지부)는 2006년 기술유출 의혹을 본격적으로 제기했다. 노조는 2005년 5월 쌍용차 핵심기술인력 150여명이 중국에 파견됐고, 이때 쌍용차와 부품업체들의 설계도면이 넘어갔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7월에는 검찰이 경기도 평택 쌍용차 종합기술연구소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기술유출 의혹의 핵심은 우리나라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하이브리드자동차 관련기술이다.

◇투자외면으로 경영난=기술 빼가기에 혈안이 됐던 상하이차는 정작 쌍용차에 대한 투자는 외면했다. 1조2천억원을 투자하겠다는 인수 당시의 약속도 지키지 않았다. 투자부진은 쌍용차의 판매부진으로 이어졌다. 쌍용차의 판매량은 2003년 내수시장 점유율 12.5%를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2004년 11.4%, 2005년 8.3%, 2006년 6%에 이어 2007년에는 5%로 떨어졌다. 지난해 내수시장 점유율은 3.4%로 곤두박질쳤다.

특히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가 급감했다. 쌍용차는 2003년 39.4%의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2007년부터는 간신히 20%대를 넘기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관계자는 "상하이차 경영 4년 동안 쌍용차는 빈 껍데기로 전락했다"며 "상하이차가 대주주로서의 책임을 저버린 채 노조와 최소한의 협의도 없이 법정관리를 결정했다"고 비난했다.

 
<매일노동뉴스 1월12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