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시장 요인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건설문화'라는 내적 요인을 혁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윤영선 박사는 '한국 건설문화의 특성 및 혁신 방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건설산업이 겪고 있는 경쟁력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건설문화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요구된다"며 "6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기간 동안의 건설산업을 대상으로 건설문화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그는 '건설문화'를 '건설산업 종사자 전체가 습득하고 축적한 의식과 행동, 그 결과물들의 총체'라고 정의했다. 건설문화의 유형은 △건설인의 공유의식 또는 가치관 △건설 관련 제도 △건설 시공물 등으로 분류했다.

윤 박사가 선정한 한국의 건설문화는 모두 여섯 가지다. 먼저 의식 문화는 수직적 주종주의·연고주의·배타적 평등주의·결과 지향적 도전주의를 꼽았다. 제도 문화로는 규제 과잉형 건설제도를, 시공 결과물 문화로는 '획일적 저품격 건축물'을 선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직적 주종주의는 다단계 하도급 구조에서 비롯됐다. 윤 박사는 "건설산업은 최상의 발주자로부터 시작해 원도급자·다단계의 하도급자·현장 기능인력에 이르기까지 소위 갑을 관계식의 주종 구조를 이루고 있다"며 "수직적 주종주의는 상명하복 문화를 낳은 데 이어 책임회피, 적당주의 같은 수동적 태도를 유발해 건설산업의 생산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건설문화가 형성된 건설산업의 특성으로는 △수주산업 △선계약-후시공 방식의 도급계약 △장시간 생산활동 △반복 생산의 어려움 △기후의존형 △종합가공 산업 △노동집약적 △강한 외부성 작용 △주요 고객이 정부 또는 공공부문 등이라고 분석했다.

윤 박사는 "생산주체인 건설업체들은 스스로 기득권 구조를 탈피하기 어렵다"며 "건설문화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공공 발주가가 혁신의 리더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일노동뉴스> 2008년 9월 17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