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인수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유력한 인수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포스코가 이명박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논리로 예상치 않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2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 일각에서 소유분산구조로 공기업적 성격이 남아 있는 포스코가 대우조선을 인수할 경우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공부문 민영화 논리가 희석될 수 있다는 판단이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이 산업은행 민영화 차원에서 매각 1호로 나왔다는 상징적 의미도 더해진다.여기에 조선업계와 철강업계의 포스코 견제심리가 작용하고 있다. '포스코-대우조선'으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 구도에서 다른 조선업체들이 상대적인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입장에서 대우조선이 안정적인 조선용 후판 공급처를 모기업으로 두는 것이 달가울 리 없다. 철강업계는 사살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포스코의 시장지배력 강화를 우려하고 있다.포스코가 가장 유력한 인수후보로 꼽히는 이유는 자금력과 기업이미지 때문이다. 포스코의 내부유보금은 22조원에 달하고, 단기간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도 5조6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올해 에너지·신규사업 부문에 책정된 예산 2조6천억원의 경우 인수합병(M&A) 자금으로 분류된다.업계에서는 한국산업은행과 자산관리공사 지분 50.37%를 인수하는 데만도 5조원 이상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영권 프리미엄이 작용할 경우 매각대금은 8조원을 웃돌 전망이다. 두산·GS·한화·STX 등 인수경쟁 기업의 현금동원력은 포스코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포스코가 대우조선을 인수해 철강 원자재를 생산해 계열사에 공급하는 수직계열화를 실현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